챗GPT 생성 이미지
이 가운데 21%는 원치 않는 신체 접촉이나 성적 접근 등 ‘표적화된 성희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군인 중에서도 32%가 일반화된 성적 행동, 6%가 표적화된 성희롱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결과가 공개되자 루이스 샌더-존스 영국 재향군인부 장관은 “국가를 위해 복무하는 이들은 존엄과 존중 속에서 근무할 권리가 있다”며 “이번 조사 결과는 전적으로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논란이 확산되면서 영국 국방부도 즉각 대응에 나섰다. 국방부는 잉글랜드 북부와 남서부의 주요 훈련 기지에 전문 예방팀을 배치했으며, 2026년까지 키프로스와 영국 공군 기지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프로그램은 신병과 장병들에게 성적 동의, 여성혐오, 온라인 기반 유해 콘텐츠 등 성희롱의 위험 요인에 대해 교육하는 데 중점을 둔다.
로이터는 영국군 정규 인원을 약 13만7000명, 이 가운데 여군을 1만6300명으로 추산하며 전체의 약 12%를 차지한다고 전했다. 여군 비중이 전체의 10분의 1을 넘는데도 지속적으로 성추행·학대·괴롭힘 사건이 불거져 왔다. 지난달에는 19세 여성 병사를 성추행한 혐의로 전 육군 상사 출신 간부가 징역 6개월을 선고받았으며, 피해 병사는 이후 극단적 선택을 했다.
군 내부 불만 처리 제도도 문제로 지적됐다. 군 불만조정관은 현 제도가 “효율적이지도, 효과적이지도, 공정하지도 않다”고 평가했다. 로이터는 이러한 비판이 군 개혁 요구를 더욱 키웠다고 진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