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줄줄이 조기퇴직…'평생고용'은 옛말

해외

이데일리,

2025년 11월 14일, 오전 11:00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일본 대기업을 중심으로 올해 50세 이상 직원 대상 조기퇴직·희망퇴직 프로그램이 급속도로 확산, 2021년 이후 가장 많은 퇴직자를 배출했다. 인구 고령화, 노동력 부족, 경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구조조정 흐름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사진=AFP)


14일 블룸버그통신은 도쿄상공리서치 데이터를 인용, 지난 10월 기준 올해 일본 상장사의 조기·자발적 퇴직 대상자가 1만 1045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2021년 이후 4년 만에 최대 규모다.

전체 퇴직 대상자 가운데 90%가 도쿄증시 프라임 시장에 상장 기업 소속으로, 주로 전기·식품·금속·기계 등 주요 제조업 부문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는 “많은 기업들이 (고령화·인력난 등으로) 정년을 최소 65세로 연장하고 있지만 보편적인 추세가 아니다. 일부 기업들은 더 광범위한 구조조정 노력의 일환으로 조기 퇴직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며 “이는 일본의 출산율 감소, 인구 고령화, 기대수명 연장 등 인구학적 압박 배경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파나소닉홀딩스, 재팬디스플레이, 미쓰비시전기, 미쓰비시케미컬, 메이지홀딩스 등 일본 내 주요 대기업들은 50세 이상 고령층을 주요 타깃으로 퇴직 프로그램을 시행, 인력 감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러한 구조조정 흐름은 적자기업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올해 퇴직 프로그램을 도입한 41개사 중 28곳(77%)이 흑자 상태임에도 인력 감축에 돌입했다. 올림푸스, 메이지 등이 대표 사례다.

대부분이 인건비 부담 및 정년 연장에 따른 고정비 증가, 생산성·경쟁력 유지, 재무 건전화, 사업 개편 등을 위해 조기퇴직을 안내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행동주의 투자자들과 도쿄증권거래소 역시 상장사들에 더 높은 수익률을 요구하며 기업들의 비용 절감 및 가치 창출을 부추기고 있다.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의 이와이 신타로 이코노미스트는 “기업들이 기존 방식대로 사업을 운영하는 것은 더 이상 현실적이지 않다.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복된 업무를 제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정년퇴직, 희망퇴직, 아웃플레이스먼트(재취업 지원 서비스) 등 다양한 퇴직 방식 도입도 보편화하고 있다. 퇴직자가 대거 발생하며 일본 특유의 ‘평생 고용’이나 ‘장기 근속’ 문화도 흔들리고 있다.

결과적으로 일본 노동시장에선 최근 중견·중장년층의 경력 전환, 재취업 기회 확대가 강조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에 대응해 70세 이상 임금 노동 연장, 비정규직 복지 개선, 전직·재취업 지원을 위한 각종 훈련·보조금 확대, 고령자 고용 장려 정책 등을 새롭게 마련하고 있다.

도쿄상공회의소는 “일본 노동시장은 인구 고령화·저출산, 인력난 등 외부 압박과 더불어, 중견 인력들의 이직·전직 흐름이 점차 강해지고 있다. 기업들의 조기퇴직·희망퇴직 가속화는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짚었다.

기존의 고령 인력을 줄이고 더 젊거나 경력 있는 인재를 채용·배치함으로써, 인력 부족 시장에서 조직 경쟁력을 높이려는 전략이라는 뜻이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