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FP)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커피와 바나나 등 미국에서 거의 생산하지 않는 품목을 거론하며 “가격이 매우 빨리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백악관은 지난 4월 ‘해방의 날’ 관세 발표 이후 미국과 무역 합의를 하지 않은 국가에서 수입하는 제품의 관세도 광범위하게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특히 식품 품목에 대한 관세 면제를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백악관의 입장 변화는 최근 미국 장바구니 물가 상승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은 지난 4일 버지니아, 뉴저지주 주지사 선거와 뉴욕시장 선거에서 고물가 이슈를 앞세워 압승했다.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을 비판하며 내세운 고물가 이슈가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 것이다.
선거 다음날 JD 밴스 부통령은 소셜미디어 X에 “우리는 국내 문제에 집중해야 한다”며 “이 나라에서 적절한 수준의 삶을 저렴하게 만들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며, 그것이 내년 (중간선거)과 그 이후 우리를 평가하는 기준이 될 것”이라고 썼다.
다만 백악관은 미국과 무역협정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 상품의 관세를 면제할 경우 미 행정부와 협력하려고 노력한 국가를 역차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또 식품 관세를 내릴 경우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기반인 농민들과 목장주 등이 반발도 불가피하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물가가 하락하고 있다는 (잘못된) 주장을 해 온 상황에서 광범위한 관세 인하가 이뤄진다면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경제 정책 중 하나가 후퇴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