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카니(왼쪽) 캐나다 총리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사진=AFP)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도와 캐나다는 이날 전략적 광물과 청정에너지 공급망, 항공우주 분야까지 전방위 협력을 강화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에 대응해 두 국가가 양자 관계를 재설정한 결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취임 전 ‘미국의 51번째 주(州)’ 발언을 시작으로 갈등을 이어왔다. 그는 취임 이후엔 캐나데에 펜타닐 관세 10%를 추가 부과하고, 전력요금 분쟁을 계기로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50%로 인상했다. 최근엔 캐나다 온타리오주가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이 등장하는 반(反)관세 광고를 게재한 것을 걸고넘어지며 10% 추가 관세 인상을 경고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인도에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문제 삼아 관세를 기존 25%에서 50%로 높였다.
캐나다와 인도 모두 전통적으로 미국의 동맹국이라는 점, 2023년 이후 양국 간 정치·외교 갈등이 심화한 상태였다는 측면에서 이번 협력은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2023년 6월 캐나다 밴쿠버에서 시크교 분리주의 운동 지도자 하디프 싱 니자르가 피살되자 쥐스탱 트뤼도 전 캐나다 총리는 인도 정부 개입을 주장했다. 이후 양국은 서로 상대국 외교관을 추방하고, 비자 발급을 중단하고, 진행중이던 무역협상도 중단하는 등 관계가 크게 악화했다.
하지만 캐나다 지도자가 마크 카니 총리로 교체되고 트럼프 대통령의 무소불위 관세 압박까지 대두되면서, 인도와 캐나다는 그간의 갈등을 묻고 외교·경제 관계 개선을 모색하게 됐다.
양국은 대사 복귀, 국경 범죄 방지 정보공유 체계 구축 등에 합의했다. 이번 주에는 인도 외교장관 수브라만야암 자이샹카르와 캐나다 외무장관 아니타 아난드가 온타리오주에서 회동했다. 캐나다 무역장관 마닌더 시두는 현재 인도를 방문 중이다.
지난해 인도와 캐나다 간 상품·서비스 교역액은 236억 6000만달러에 달한다. 이 중 상품 교역액은 89억 8000만달러로 전년대비 10% 증가했다.
양국은 항공우주 산업 분야 투자 유치와 협력 확대도 공동 추진하고 있으며, 앞으로 탄소중립 에너지, 핵심 광물, 첨단 제조업에 걸친 파트너십도 더욱 심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와 캐나다 외에도 전 세계 상당수 국가들이 미국의 관세 공세, 미중 패권 경쟁,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대응해 합종연횡을 가속화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전 세계 국가들이 공급망을 다각화하고, 자국 경제를 보호할 새로운 시장을 모색하고, 각국의 입장을 재검토하도록 만들었다”고 짚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