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대내외 정책 모두 ‘암초’…무당파 이탈에 지지 흔들

해외

이데일리,

2025년 11월 16일, 오후 07:05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두 번째 임기 10개월 만에 대내외적인 위기에 직면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경제·외교 정책이 잇따라 암초를 만나면서, 무당파 유권자들의 지지율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어서다. 무당파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강경책 완화를 시도하자 전통 지지층은 동요하는 등 딜레마에 빠졌다는 진단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FP)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은 16일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 초기엔 대규모 감세 및 이민정책 등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냈지만, 최근 들어 관세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주요 경제 정책에서 잇따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최근 경제체감지수와 무당파 지지율이 동시에 급락, 국정 운영에도 비상이 걸렸다는 진단이다. 무당파 지지율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했던 지난 1월 46%에서 최근 33%로 13%포인트 하락했다. 체감경기 지수 역시 68.3에서 45.0으로 급락했다.

미국의 무당파 비중은 40%에 달해 선거 결과를 좌우하는 핵심 집단으로 간주된다. 내년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승리하려면 이들의 지지를 확보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최근 치러진 선거에서도 지지율 변화가 확인됐다. 버지니아 주지사 선거에서는 무당파 59%가 민주당 후보를 택해, 40%에 머문 공화당 후보를 19%포인트 차이로 제쳤다. 전문가들은 무당파가 이념보다 실질 경기 지표에 민감하다고 분석한다.

물가·주거비·의료비 등 생활비 부담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는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주택비 상승률은 연 4%대로 소비자물가지수(CPI)보다 높고, 병원 서비스 비용도 5% 이상 오르며 가계를 압박하고 있다. 개인파산 건수는 연초 대비 15% 급증했고, 체감 치안도 악화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결국 커피, 코코아, 바나나, 소고기 등 220개 이상의 식료품에 부과했던 상호 관세를 철폐하는 등 실용 노선으로 선회하는 모습이다. 이는 여론 안정을 위한 조치로, 내년 중간선거에서 패배할 것을 우려한 정책적 후퇴로 평가된다.

내부적으로만 문제가 있는 게 아니다. 외교 현장도 녹록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무역분쟁에서 한 때 관세율을 145%까지 인상했으나, 중국이 희토류 공급 축소로 맞불을 놓자 사실상 양보 입장으로 돌아섰다.

우크라이나 전쟁 대응과 관련해서도 당초 내세운 ‘취임 첫날 휴전’이나 러시아와의 정상회담이 무산됐다. 중국에 이어 러시아도 트럼프 정부의 약화에 기대 미국에 유리한 추가적인 양보는 거부하고 있다는 평가다.

이러한 변화는 전통적 강경 지지층, 소위 ‘마가’(MAGA) 진영의 반발을 사고 있다. 스티브 배넌 전 백악관 수석전략가와 마조리 테일러 그린 하원의원 등은 “글로벌리스트에 휘둘린 결정”이라며 강력 비판했고, 트럼프 대통령 역시 이들과의 관계 단절을 선언했다.

무당파 지지율이 회복하기 위해 실용 노선을 추구했지만, 반대로 기존 지지층 이탈을 초래하는 딜레마에 직면한 것이다.

닛케이는 “내년 중간선거를 1년 앞두고, 주가 상승세만이 트럼프 행정부의 ‘마지막 버팀목’이 되고 있다”며 “연이은 대내외 악재로 트럼프 정권은 위기를 맞고 있다”고 짚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