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브라질 베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중국 대표로 참석한 기후변화 자문위원들은 “지속가능한 협력을 저해하는 이중잣대”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왕이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 겸 외교부장. (사진=AFP)
위원들은 “각국의 일방적 무역도구 사용이 증가하며 비용이 높아졌다. 이는 전 세계적인 친환경 제품 보급·확산을 저해한다. 국제 협력이 절실한 시기에 이러한 조치는 전 세계 공급망을 분열시키고, 신뢰 약화시킬 위험이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에 무역규제 완화를 촉구했다.
국제사회에 기후변화 대응 협력을 촉구하는 동시에, 무역장벽이 남발될 경우 전 세계 탄소 감축 목표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경고한 것이다.
생태경제학자이기도 한 왕이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 겸 외교부장(장관)은 “한쪽에선 중국에 탄소 감축 속도를 내라고 요구하면서, 다른 한편으론 친환경 진출을 틀어막는 일련의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건 이중잣대가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앞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고치로 끌어올린 뒤 감소세로 전환, 206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이중탄소’ 목표를 천명했다. 이후 중국은 친환경산업 구조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그러나 서방의 무역제재와 견제가 이어지면서 대외 마찰이 심화하고 있다. 중국과 미·EU 간 무역갈등은 녹색 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대두에서 전기자동차, 반도체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블룸버그는 “이번 COP30에서 무역규제 및 제한 조치는 기후금융, 온실가스 감축과 더불어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제 중 하나였다”며 “리가오 생태환경부 차관 등 중국 정부 관계자들 역시 신중한 외교적 언어를 사용하며, 중국의 친환경 기술 수출 흐름을 제한할 수 있는 (서방의) 정책들에 대해 공개 저격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