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지난달 31일 경주에서 열린 중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위위안탄톈은 “중국은 대만 관련 문제에서 이미 충분한 반격 경험을 축적했다”며 “외교부의 기존 제재 리스트에서 약 80%의 상황에 대만 문제가 포함돼있고 이 가운데는 일본 정객도 적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어 “필요하다면 중국은 언제든 유사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일본과의 경제·외교·군사 등 층위의 정부 간 교류 중단’을 대응책으로 제시하면서 “중국은 과거 ‘모든 후과’를 언급할 때 실제로 일부 수단을 채택(실시)한 바 있다”며 “중국이 일본 최대 무역 파트너이고 적지 않은 일본 상품이 중국 수입에 ‘고도로 의존’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위위안탄톈은 중국 외교부 직속 싱크탱크 중국국제문제연구원의 샹하오위 연구원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최근 동원하고 있는 ‘정면 공격’이라는 표현은 단순한 외교적 수사가 아니라 명확한 군사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국의 랴오닝함·산둥함·푸젠함 등 항공모함 3척과 시험 항해에 들어간 경항모 쓰촨함, 둥펑 탄도미사일 등이 ‘정면 공격’의 의미를 일본에 가르쳐줄 것이라고 위협했다.
이어 “다카이치 사나에 취임 후 그의 발언과 동향은 주변 국가의 공개적인 비판과 경계를 받았다”며 “중국의 항의는 일본에 대한 엄정한 경고일 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를 향한 질서 수호 행동”이라고 덧붙였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중의원(하원)에서 ‘대만 유사시’는 일본이 집단 자위권(무력)을 행사할 수 있는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중국은 연일 고강도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다카이치 총리는 발언을 철회할 생각이 없다는 입장이다.
중국은 실력 행사에도 나섰다. 중국 해경국은 16일 해경 1307함정 편대가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열도를 순찰했다고 발표했다.
같은 날 중국 교육부는 “최근 일본 사회 치안이 불안하고 중국인을 겨냥한 위법한 범죄 사건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며 중국 학생들이 일본 유학 계획을 신중히 세워야 한다는 ‘자제령’을 내리기도 했다.
중국 외교부도 전날 일본 방문 주의보를 발령하고 중국국제항공(에어차이나)·중국동방항공·중국남방항공 등 주요 항공사들이 일본행 항공편을 무료로 취소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