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각 출범 직후보다 지지율 오히려 올라
일본 아사히신문이 15~16일 양일간 전국 유권자 1215명을 상대로 진행해 이날 공개한 전화 여론조사에서 다카이치 내각에 대한 지지율은 69%로 집계됐다. 지난달 다카이치 내각 출범 직후 동일한 기관의 여론조사에서 다카이치 내각 지지율은 역대 최고 수준인 68%였다. 허니문 효과 영향 등으로 인해 내각 지지율은 통상 출범 직후 조사 이후 두 번째 조사에서 하락하는 경향이 있음에도 다카이치 내각은 오히려 두 번째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1%포인트 오른 것이다. 내각에 대한 비(非)지지율은 19%에서 17%로 2%포인트 낮아졌다.
다카이치 정권의 인플레이션 대응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답변은 44%에 달했다. ‘그렇지 않는다’는 이는 35%였다. 고물가 대응의 경우 기시다 후미오 전 총리나 이시바 시게루 전 총리가 재임했을 당시에는 긍정적인 평가가 10%대에 머물러 정권 교체의 원인이 됐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사진=AFP)
중·일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은 크게 엇갈렸다. 다카이치 총리에게 중·일 관계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이는 43%, ‘기대할 수 없다’는 이는 44%로 나타났다. 다카이치 총리에게 중·일 관계 개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의 내각 지지율은 53%로, 평균보다 낮았다. 향후 중·일 관계에서 총리의 대응 방식에 따라 내각 지지율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아사히는 짚었다.
◇ 정상회담부터 삐걱…발언 철회는 글쎄
중·일 관계 악화는 지난달 31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중·일 정상회담에서 어느 정도 예상됐다. 당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총리는 역사와 중국 인권 문제 등에 대한 각자 입장을 전하며 팽팽한 신경전을 벌였다.
특히 이달 7일 다카이치 총리가 중의원(하원) 예산위원회에서 “대만 유사시는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됐다. 일본 정부는 내부적으로 대만이 공격받을 경우 존립위기 사태로 볼 수 있다고 판단했으나 일본 현직 총리가 공식적으로 이 같은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후 중국 정부는 연일 일본을 강경하게 비판하고 있다. 쉐젠 주오사카 중국 총영사는 소셜미디어(SNS)에 “더러운 목을 벨 수밖에 없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으며, 중국 외교부는 13일 브리핑에서 “대만 문제로 불장난을 해서는 안 된다. 불장난하는 자는 반드시 스스로 불에 탄다”고 반응했다. 중국 정부는 가나스기 겐지 주중 일본대사를 늦은 밤에 초치하기도 했다.
중국 정부 입장을 대변하는 관영매체들은 “일본 우익세력의 지극히 잘못되고 위험한 역사관·질서관·전략관”(인민일보), “군국주의 죄행을 반성하지 않고 무력으로 이웃 국가의 내정에 개입하겠다는 망언”(신화통신), “중국은 대(對)일본 제재와 양국 정부 간 교류 중단 등과 같은 정면 공격을 가할할 것”(CCTV 산하 위위안탄톈) 등 격한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동시에 중국 정부는 자국민에 일본 방문 자제를 거듭 권고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가 이달 14일 일본 방문 주의보를 발령했으며, 중국 문화여유부(문화관광부)와 교육부도 일제히 일본 여행·유학 자제령을 내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사진=AFP)
다만 다카이치 총리가 ‘대만’ 발언을 철회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관측된다. 다카이치 총리가 발언을 철회한다면 핵심 지지층인 보수 세력의 지지를 잃고 중국이 더 많은 요구를 할 수 있어 실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일본 언론은 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