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당 토머스 매시 하원 의원(켄터키)은 16일(현지시간) A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공화당에서만 100표 이상 나올 수도 있다”며 “가급적이면 대통령 거부권을 뒤집을 수 있는 수준의 압도적 찬성표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매시 의원은 민주당 로 카나(캘리포니아) 의원과 본회의에서 법무부 엡스타인 수사 파일 공개를 강제 표결하기 위한 청원 서명을 주도해온 인물이다.
10월2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의사당 근처에서 한 남성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제프리 엡스타인이 손을 잡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동상과 함께 셀카를 찍고 있다.(사진=AFP)
이 법안은 법무부에 엡스타인 관련 모든 파일과 통신 기록, 그리고 그가 연방 교도소에서 사망한 경위에 대한 수사 정보를 공개하도록 요구한다. 다만 피해자 정보나 진행 중인 연방 수사와 관련된 내용은 비공개(편집) 처리가 허용된다.
매시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를 잃을까 두려워 반대표를 던지는 공화당 의원들은 그 표결 기록이 오래도록 남아 앞으로 정치적으로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표결은 최근 공개된 새로운 문건으로 트럼프 대통령과 엡스타인과의 과거 친분에 대한 의혹이 커진 가운데 진행된다. 엡스타인이 2019년 한 기자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트럼프는 그 소녀들(피해자들)에 대해 알고 있었다”고 적은 이메일이 공개되면서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백악관은 이 이메일들이 민주당에 의해 ‘선별적 유출’된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을 흠집 내려는 시도라고 반박하고 있다.
공화당 의원들의 찬성표를 막기 위해 압박에 나섰던 트럼프 대통령은 돌연 공개 찬성으로 입장을 바꿨다. 그는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서 “공화당은 엡스타인 파일 공개에 찬성해야 한다. 우리는 숨길 것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급진 좌파가 꾸며낸 민주당의 사기극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들은 공화당의 최근 ‘민주당 셧다운’ 승리를 덮기 위해 이 문제를 악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 14일까지도 트루스소셜에 강제 표결 청원에 서명한 마저리 테일러 그린 의원을 향해 “배신자”, “가짜 공화당원(RINO)”이라고 비난하며, 2026년 공화당 경선에서 도전자를 내세우겠다고 압박하기도 했다.
역시 청원 시도를 비판했던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도 “숨길 게 없다”며 “파일 공개가 트럼프 대통령이 엡스타인의 범죄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불식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며 입장을 바꿨다. 그는 하원 감독위원회가 이미 수천 건의 추가 자료를 공개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법안은 불필요하다고 주장했었다.
엡스타인 관련 문건 추가 공개 여부를 둘러싼 공방은 트럼프 대통령과 일부 공화당 의원들 사이의 균열로 번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2019년 수감 중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성범죄자 엡스타인의 각종 정보가 아직 정부에 의해 숨겨져 있으며, 유력 인사들과의 연계 가능성이 남아 있다고 믿는 지지층도 적지 않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