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AP 뉴시스)
중국국제항공, 중국남방항공, 중국동방항공 국영 3대 항공사는 일본행 항공편의 일정변경이나 취소를 무료로 제공한다. 민영 항공사인 쓰촨항공과 하이난항공도 같은 조치에 나섰다. 앞서 지난 14일 중국 외교부가 ‘안전우려’를 들어 일본여행을 자제하라고 권고한 뒤 나온 움직임이다.
중국 외교부는 위챗계정 공지를 통해 “중국 외교부와 주일 중국대사관·영사관은 가까운 시일 내 일본방문을 엄중히 주의할 것을 알린다”며 “현재 일본에 체류 중인 중국인은 현지 치안상황을 면밀히 확인하고 안전의식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이후 홍콩 당국 역시 지난 15일 해외여행정보 홈페이지에서 “올해 중반부터 중국 시민을 대상으로 한 공격이 점차 증가했다”면서 일본여행시 경계를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중국의 일본여행 자제권고에 따른 후속조치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기하라 미노루 관방장관은 “일본 측의 인식과는 맞지 않는다”면서 “중국 측에 공식적으로 항의하고 적절한 대응을 강력히 요구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정상 간에 확인한 전략적 상호이익 관계의 추진과 건설적·안정적 관계구축이라는 큰 방향성과도 맞지 않는다”면서 “입장차이가 있는 만큼 양국의 다층적 의사소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두고 에버코어ISI의 네오 왕 중국 거시경제 애널리스트는 블룸버그통신을 통해 “중국이 자국 관광객의 소비력 카드를 쥐고 대만 문제에서 다카이치 총리의 태도나 발언에 대한 대가를 키우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일각에선 중국이 교류나 무역, 기업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추가조치를 검토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일본은 과거에도 중일관계 악화로 관광업이 불똥을 맞은 전례가 있다. 2010년 9월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인근 해역에서 일본 해상보안청이 중국 어선을 나포한 뒤 외교마찰이 심화해 이듬해 중국인 방일 관광객이 전년 대비 26% 줄었다. 2012년엔 일본의 센카쿠열도 국유화로 중국에서 대규모 반일시위가 벌어져 한때 중국인 관광객이 전년 대비 40% 급감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 7일 다카이치 총리는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 관련 질문에 “무력 공격이 일어나면 (일본의)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다”며 “중국이 군함을 동원한 무력행사를 수반하면 어떻게 보더라도 일본의 ‘존립 위기 사태’”라고 말했다.
‘존립위기 사태’는 주변국 사태 등으로 일본 영토·국민에 큰 위협이 있을 경우, 일본이 직접 공격을 받지 않더라도 집단적 자위권 행사할 수 있는 상황을 뜻한다.
이에 쉐젠 주오사카 중국 총영사는 “멋대로 들이박아 오는 그 더러운 목은 한순간의 망설임도 없이 베어버릴 수밖에 없다. 각오가 돼 있느냐”며 거친 대응에 나섰다. 일본 여론은 발끈했고 일본 정부는 주일중국대사를 초치하며 강하게 항의했으나 중국 측은 쉐 총영사를 줄곧 옹호했다.
구라다 도오루 릿쿄대학 교수는 아사히신문을 통해 “이번 사태를 계기로 중국 정부는 다카이치정권에 강경조치로 방향을 정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한번 확정된 방향성은 최고지도부 수준에서 큰 전환이 없는 한 쉽게 바뀌지 않을 것이다. 다카이치정권에서 중일관계는 상당히 긴장된 상태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다카이치 총리는 발언에 대해 철회할 뜻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은 안보전문가들 사이에선 이전부터 반복적으로 논의된 내용이라 이를 철회할 경우 총리가 스스로 집단자위권을 행사할 여지를 좁히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짚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