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AFP)
블룸버그통신은 17일(현지시간) 미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자료를 인용해 올해 10월 한 달 동안 미 대기업들이 예고한 해고 인원이 3만 9006명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이는 ‘고용조정 및 재교육법’에 따라 사전 통보된 해고 예정자 수로, 2006년 이후 월간 집계에서 2008년·2009년(금융위기), 2020년(코로나 팬데믹), 올해 5월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수준에 해당한다. 올해 이뤄진 대량 해고는 인공지능(AI) 쇼크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재취업 컨설팅 및 인력 구조조정 전문 기업 챌린저, 그레이앤드크리스마스(CG&C)도 미 기업들이 올해 10월 발표한 해고 예정 인원이 최근 20년 중 가장 큰 규모라고 짚었다.
블룸버그는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단순한 고용 감소뿐 아니라 일자리 감소까지 겹쳐 노동시장이 악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평가했다. 미 노동시장 둔화 압력이 본격화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통화정책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노동시장 둔화가 현실화하하면 단기적으로 실업률 상승과 임금압박, 소비감소 등 경기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다.
실제로도 연준 내부에서는 노동시장 둔화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 등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으며, 향후 금리인하 기조를 지속할 것인지 여부를 놓고 고심이 깊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공식 고용지표 발표가 늦어진 것도 부담을 키우고 있다. 미 노동부 노동통계국(BLS)은 지난달 3일로 예정돼 있었던 9월 고용보고서를 오는 20일 발표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하지만 지난 7일 발표 예정이었던 10월 고용보고서 공개 일정은 여전히 밝히지 않고 있다. 10월 보고서는 실업률 통계가 포함되지 않은 반쪽짜리 보고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블룸버그는 낙관론자들은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는 반면, 비관론자들은 해고가 잇따라 발생해 경기침체 우려를 키우고 있다고 지적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