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사진=AFP)
그는 “매일 리스크 감소를 생각하면서 경제를 운영해 나가고 싶다”며 일본의 공급망과 관광 산업이 중국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 현실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요시무라 히로후미 오사카부 지사도 일본 주재 중국 외교관이 다카이치 총리를 향해 극언을 퍼부은 데 대해 사과를 촉구했다. 요시무라 지사는 이날 쉐젠 총영사가 지난 9일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과 관련해 “외교관으로서 매우 부적절하다. 사과해야 한다”며 쉐젠 총영사가 주최하는 행사나 이벤트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외교관의 자국 소환을 사실상 요구하는 ‘페르소나 논 그라타’(외교적 기피(인물) 통보에 대해서도 “지정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에 대해선 “철회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중국 외교부가 당분간 일본 여행을 자제하라고 경고한 것에 대해서는 중국 관광객이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보면서도 “중국인 관광객에만 의존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자제하는 것이 좋으며 중국이라는 나라를 하나의 국가 리스크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앞서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중의원(하원)에서 “중국이 군사력을 동원해 무력행사를 감행한다면 이를 존립 위기사태로 간주할 수 있다”고 밝힌 뒤 중일 관계가 급랭하고 있다.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은 일본 현직 총리 최초로 대만 유사 시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발동해 개입할 가능성을 거론했기 때문이다. 이에 중국 당국과 언론은 강하게 반발했고, 외교부와 교육부는 일본 유학, 여행 자제를 권고하는 등 보복 조치에 나섰다. 쉐젠 총영사는 지난 9일 X 계정에 “‘타이완 유사는 일본 유사’는 일본의 일부 머리 나쁜 정치인이 선택하려는 죽음의 길”이라며 다카이치 총리 발언에 강력히 반발했다. 그는 ”더러운 목을 벨 수밖에 없다“는 내용의 위협성 글도 올렸다가 지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