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의 젠슨황 최고경영자(CEO)(사진=AFP)
ORATS 자료에 따르면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 12개 분기 동안 실적 발표 다음 날 평균 7.3% 움직였다. 이는 2024년 2월 실적 발표 후 기록한 2760억달러 증가를 넘어설 가능성을 시사한다.
엔비디아는 대규모 언어모델(LLM) 등 학습을 위한 AI칩 시장을 사실상 지배하며 AI 투자 테마의 핵심 종목으로 자리 잡았다. 크리스 머피 서스퀘하나 파생전략 공동책임자는 “엔비디아의 영향력은 단순한 시총 변동을 넘어선다”며 “AI 설비투자 흐름의 중심축으로서 이번 실적이 확장 국면 지속 여부와 조정 국면 진입 여부를 가를 것”이라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S&P500지수 내 비중이 약 8%로, AI 시장 내 리더십과 함께 실적이 시장 전반에 미칠 파장이 클 전망이다. 머피는 “수요·마진·공급망·투자 기조 등에서 나타나는 신호가 반도체와 하이퍼스케일러, AI 인프라 전반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주가 변동폭은 ±7% 수준이겠지만, 연관된 거래 규모는 10조달러에 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술주는 최근 AI 관련 고평가 우려와 랠리 지속성 논란 속에 조정을 받았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 약 38% 상승했으나 지난달 말 사상 최고치 이후 약 10% 되돌림을 보였다. 최근 억만장자 피터 틸의 헤지펀드, 소프트뱅크 등이 엔비디아 지분을 일부 정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주가에는 추가 압력이 가해졌다.
제이슨 프라이드 그렌미드 투자전략·리서치 총괄은 “엔비디아는 S&P500 핵심 구성종목인 만큼 실적은 기업 투자와 AI 관련 지출 흐름 전반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