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민주, 트럼프일가 가상자산 기업 조사 촉구…“북·러와 거래 의혹”

해외

이데일리,

2025년 11월 19일, 오후 01:08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미국 민주당 소속 상원의원 2명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일가의 가상자산(암호화폐) 기업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에 대한 공식 조사를 촉구했다. 의원들은 WLF과 북한, 러시아 등 적국들과의 연계 의혹을 제기했다.

(사진=AFP)


18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미 민주당 상원의원인 엘리자베스 워런(매사추세츠), 잭 리드(로드아일랜드)는 이날 팸 본디 법무장관과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WLF에 악의적인 행위자가 자금을 이동(세탁)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적절한 안전장치가 없어 국가안보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워런 의원과 리드 의원은 미국 비영리 감시단체인 ‘어카운터블US’의 9월 보고서를 근거로 인용했다. 해당 보고서는 WLF가 발행한 토큰(WLFI)이 매우 의심스러운 여러 단체에 판매됐으며, 그 대상엔 북한 해커조직과 제재 대상인 러시아 기관, 이란계 가상자산 거래소, 자금세탁 플랫폼 토네이도 캐시 등이 포함돼 있다고 설명한다.

두 의원은 올해 1월 WLF가 북한 해커조직 및 제재 대상 러시아 기관과 연루된 지갑을 통해 1만달러 규모의 토큰을 거래, “미국의 적대국에 회사 거버넌스에 직접 영향력을 행사할 기회를 제공했다”며 신속한 조사를 촉구했다.

WLF는 현재 트럼프 일가와 관련 기업이 주요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회사 웹사이트에는 에릭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배런 트럼프가 공동 창립자로, 트럼프 대통령이 명예 공동 창립자로 각각 명시돼 있다.

이에 트럼프 일가와 현 행정부 간 ‘금전적 이해관계’ 가능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실례로 트럼프 일가 관련 기업인 DT 마크스 디파이(DT Marks DEFI)는 WLF 토큰 225억개, 약 30억달러어치를 보유하고 있으며, 토큰 판매 수익도 75%를 배분 형식으로 직접 챙기고 있다. 아울러 최근 공개된 한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순자산 가운데 73%가 가상자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두 의원은 또 지배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한 신원확인 절차가 미흡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의원들은 서한에서 “WLF 토큰 판매로 발생하는 수익의 4분의 3이 트럼프 일가로 직행하고 있으며, 이는 북한이나 러시아 관련자에게 토큰이 판매될 때에도 동일하다”며 “미 행정부 관료가 토큰 판매 확대에 우선순위를 둘 경우, 트럼프 일가의 재산이 직접 증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WLF 측은 “모든 판매 대상 및 구매 참가자에 대해 업계 최고 수준의 점검을 미리 시행했고, 기준에 미달한 구매자는 수백만달러어치 구매 요청도 거절했다”면서 불법 행위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또 “WLF는 정치적 권력이 전혀 없는 민간 가상자산 기업으로, 미 정부와의 이해충돌은 없다”고 주장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