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AFP)
전날 일본 하네다공항을 통해 입국한 20대 중국인 남성 관광객은 닛케이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소셜미디어(SNS)에선 ‘일본 여행 찬반’ 논란이 이어지고 있고, 실제 정부 권고를 이유로 여행을 접은 주변인도 있다”면서도 “정부 간 갈등이 있지만 개인 여행이 영향받을 이유는 없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번이 네 번째 일본 방문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이 관광객은 “아이돌 콘서트 관람을 위해 일정에 맞춰 일본을 찾았다”고 덧붙였다.
10일 동안 도쿄와 나고야를 여행한다는 30대 중국인 남성도 “중국인 각자 생각이 다 다르다. 일본은 안전하고 사람도 친절하다. 방문할 가치가 충분하다”며 “정부 요청에 동요할 생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또다른 30대 여성 관광객도 “가족들은 걱정하지만, (여행 자제) 권고는 국가 간 문제일 뿐 일반 시민이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고 거들었다.
실제 일본에 관광 업계에서는 이번 중일 갈등으로 눈에 띄는 변화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단기 연수를 포기하거나 일부 중국 여행사들이 일본행 단체 여행 신규 패키지 판매를 일시 중단하는데 그치고 있다.
닛케이는 “중국인들 사이에서 개별 자유여행 비중이 커지면서 전체 방일 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관광청에 따르면 지난해 방일 중국인 관광객 중 단체여행 비중은 10% 내외에 불과했다.
유학생 흐름도 아직은 큰 변화가 없다. 지난해 5월 기준 일본 내 중국인 유학생은 12만 3000명으로 전체 유학생의 36.6%를 차지했다. 문부과학성 등 관계 당국은 “현재까지는 영향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신중히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수도권의 한 대학은 “이미 합격 통보한 중국인 유학생 50명 중 입학을 포기한 사례는 없다”며 “대부분 일본어학교 과정을 밟은 뒤 상당 기간 준비해온 만큼 갑자기 계획을 바꾸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일본어학교나 단기 교류 프로그램 일부에서는 중국 학생이 참가를 포기한 사례가 확인됐다. 현지 정보 부족이나 가족들의 우려가 포기 배경으로 지목된다. 결과적으로 향후 일본 유학·진학 인원이 소폭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 및 불안감은 여전히 남아 있다는 진단이다.
중국 교육부와 관광부는 여행·유학 자제 권고 배경으로 “중국인을 노린 범죄 급증”을 제시했다. 하지만 일본 경찰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인 대상 강력범죄(살인·강도 등)는 68건으로, 2002년의 156건 대비 절반 이상 줄었다고 닛케이는 짚었다. 이어 올해 10월 기준(잠정치)으로도 50건으로 집계, 1년 전(56건)보다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