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게티이미지뱅크)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9일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의 일본 수산물 수입 중단 조치와 관련해 “일본 측은 이전에 중국에 수산물을 수출하는 규제 책임을 이행하고 제품의 품질 및 안전성을 보장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일본 측은 약속된 기술 자재를 제공하지 못했다”면서 해당 조치를 간접 시인했다.
교도통신은 이날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으로부터 정식 외교 경로를 통해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단 연락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지난 2023년 8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개시를 이유로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중단한 바 있다. 이후 일본과 여러 차례 협상을 거친 끝에 올해 6월부터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관련 발언으로 중·일 갈등이 커지자 재차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단을 결정한 것이다. 중국은 표면적으로 원전 오염수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단 이유를 들었으나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유사시 집단 자위권 발동’ 발언에 대한 보복 조치로 보인다.
마오닝 대변인도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최근 행동으로 인해 대만 등 주요 문제에 대한 잘못된 발언이 중국 국민 사이에 강한 분노를 불러일으켰다”면서 “현재 상황에서는 일본 수산물이 중국에 수출된다 해도 시장이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일본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마오 대변인은 “일본이 (다카이치 총리 발언) 철회를 거부하거나 반복적으로 실수한다면 중국은 엄격하고 단호한 대응 조치를 취해야 하며 그로 인한 모든 결과는 일본이 부담할 것”이라면서 “중국은 일본이 잘못된 발언을 철회하고 중국 관련 사안에 조장하는 것을 중단하며 실수를 인정하고 실질적인 행동으로 벗어난 부분을 바로잡고 중·일 관계의 정치적 기반을 수호할 것을 진지하게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대만 유사시가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발동할 수 있는 존립 위기에 해당한다는 다카이치 총리 발언도 반박했다.
마오 대변인은 “유엔 헌장에 명시된 집단 자위권은 국제사회의 집단 안보를 유지하고 파시스트 세력의 부활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권리”라면서 “역사를 되돌아보면 이른바 ‘존립 위기’와 ‘자위’라는 명목으로 외국 침략을 개시하는 것이 일본 군국주의의 흔한 속임수임을 쉽게 알 수 있다”고 지목했다.
일본의 2차 세계 대전 발발이 ‘존립 위기’를 구실로 일으켰다고 언급한 마오 대변인은 “경보 신호가 울렸으며 이 비극이 다시는 반복될 수 없다”면서 “국제사회는 군국주의 부활 시도를 단호히 중단하고 전후 국제질서를 수호하며 세계 평화를 수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