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그룹 에스파. (사진=SM엔터테인먼트)
매체는 에스파가 최근 중일 외교 긴장 국면의 최대 피해자로 부상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짚었다. 또 12월 31일 방영이 예정된 홍백가합전에 에스파가 예정대로 무대에 설 수 있을지가 중일 관계의 긴장도를 가늠하는 풍향계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중국에 진출한 일본 연예인들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한다는 발언을 해 눈길을 끌고 있다.
중국 본토 예능에도 출연한 적 있는 일본 가수 메이리아(MARiA)는 지난 18일 웨이보에 “중국은 내게 두 번째 고향이며 중국 친구들은 모두 내가 소중히 여기는 가족“이라면서 “나는 영원히 ‘하나의 중국’을 지지한다”고 글을 올렸다.
같은 날 일본 배우 야노 코지는 “중국은 나의 두 번째 고향일 뿐만 아니라 ‘집’을 새로이 인식하게 해준 곳“이라며 “나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영원히 지지하며, 여러분을 영원히 사랑한다”고 밝혔다. 야노 코지는 중국의 영화와 드라마에서 일본군 장교로 출연한 적 있다.
중국은 ‘하나의 중국’이라는 원칙하에 대만을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다카이치 총리의 최근 발언이 이 원칙을 심각하게 위배했다고 비판하고 있다.
지난 7일 다카이치 총리는 ‘대만 유사시’가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존립 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일본 내부에서도 비판이 제기됐으나 다카이치 총리는 발언을 철회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은 해당 발언에 항의하며, 일본 여행·유학 자제령과 일본 영화 상영 제한 등 강경한 조치 등을 잇달아 내놨다.
중국 주요 항공사들이 일본행 항공권 무료 취소 지원에 나선 가운데 지난 15~17일 사흘간 중국발 일본행 항공권이 49만 1000건 취소됐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전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