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반도체 시장의 절대강자로 군림한 엔비디아가 시장 기대치를 얼마나 충족시킬지 전 세계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올해 기술주 급등세가 과도한 AI 열풍에 따른 버블인지 판단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엔비디아. (사진=AFP)
마켓워치는 18일 “엔비디아의 수익은 미국 주식시장에 매우 중요해졌다. 원래도 중요했지만 최근 AI 관련주 및 기술주에 대한 엄청난 압박을 감안하면 이번 실적 발표는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엔비디아의 실적에 따라 기술주 주가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어서다. 특히 빅테크 기업들은 시가총액이 워낙 거대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루이스 나벨리에 나벨리에앤어소시에이츠 회장은 “엔비디아의 실적이 현재 상황을 반전시킬 핵심 요소가 될 수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엔비디아가 직면한 최대 과제는 ‘수요의 지속성’이다. 엔비디아는 데이터센터 사업 부문이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알파벳), 메타,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의 대규모 AI 인프라 투자가 엔비디아 매출로 직결되는 구조다. 이에 데이터센터 사업 부문의 성장은 그동안 AI와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 급증으로 해석됐고, 이에 힘입어 엔비디아의 성장도 본격화했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하지만 최근 들어 AI 열풍이 얼마나 지속될지에 대한 의구심과 더불어, AI가 아직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정당화할 만큼 충분한 매출이나 이익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경고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현재 AI 인프라 투자는 대부분이 생성형 AI 모델 개발 초기 단계에서 나온다. 대형 기술기업들이 AI 인프라 투자를 줄이거나, 기대만큼 비즈니스 수익화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수요가 급속도로 위축될 수 있는 상황이다. 이에 엔비디아 주가도 이달 들어 10.44% 하락했다.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가 지난달 58억 3000만달러 규모의 엔비디아 지분을 정리했다는 소식에 이어, 실리콘밸리 거물 피터 틸이 운용하는 펀드도 엔비디아 보유 지분 전량 약 9400만달러어치를 매도했다고 알려지며 우려를 더욱 키웠다.
그럼에도 월가 전문가들은 엔비디아가 또다시 역대 최대 실적을 내놓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애널리스트 추정치는 3분기 매출 549억달러, 주당순이익(EPS) 1.25달러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한 수준이다.
블랙웰 AI 칩의 장기 수요와 대형 고객사 다수와의 공급계약이 매출 안정성을 뒷받침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엔비디아의 매출 컨센서스도 꾸준히 상향했다. 지난 8월 말 엔비디아가 제시한 8~10월 매출 가이던스는 543억 6000만달러로, 5~7월 매출대비 14% 증가했다.
다만 엔비디아의 3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충족하더라도 과잉 투자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을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 AI 거품론의 핵심이 AI 과잉투자라는 점에서, 반도체 수요와는 별개로 논란이 지속될 수 있어서다.
엔비디아의 3분기 실적은 물론 향후 가이던스까지 시장 기대를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어야 AI 거품론을 잠재울 수 있을 것이란 진단이다. 구체적인 ‘수치’를 통해 AI 생태계의 건강한 미래를 암시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우려를 안정시킬 수 있을 것이란 얘기다.
이런 측면에서 엔비디아가 지난 4년간 분기 매출 기준 600% 가까운 성장세를 보였다는 점은 부담으로 작용한다. 아울러 실적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거나 수요 둔화 신호가 확인될 경우, 기술주 조정세가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정학적 리스크도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미국과 중국 간 기술 패권 경쟁 속에 엔비디아 칩의 중국 수출 제한이 강화되면,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중국 수요에 영향이 생길 수 있다. 최근 반도체 규제 논의가 가열되고 있어 투자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이외에도 범용 AI 칩 시장 포화로 가격 경쟁이 심화할 가능성이 있고, 경쟁사들의 기술 추격이 빨라지면 엔비디아의 마진율이 하락할 수 있다. 일부 월가 전문가들은 여전히 “AI 수요가 과장돼 있다”며 “엔비디아 역시 고성장을 영구히 지속할 수 없다. 현재 주가는 5년 이상의 장기 성장을 반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