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웰 판매가 차트 뚫었다”…AI 버블 논란 끝낸 엔비디아

해외

이데일리,

2025년 11월 20일, 오후 06:46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임유경 기자] “블랙웰(Blackwell) 그래픽처리장치(GPU) 판매가 차트를 뚫을 정도(off the charts)였다.”

젠슨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사진=AFP)
엔비디아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내놓은 이 한마디는 19일(현지시간) 뉴욕 시장의 긴장감을 순식간에 뒤흔들었다. 인공지능(AI) 버블 논란이 거세지며 기술주가 휘청이던 상황에서 엔비디아가 또 한 번 역대급 실적과 전망을 쏟아내며 금융시장의 불안을 단숨에 진정시켰다. AI 열풍의 진원지이자 ‘체온계’로 불려온 엔비디아가 이번에도 논란을 실적으로 지워냈다는 평가다.

엔비디아의 3분기 매출은 570억달러로 전년 대비 62% 급증했다. 월가 전망치(552억달러)를 가볍게 뛰어넘었고, 순이익은 319억달러로 65%나 늘었다. 데이터센터 매출은 512억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황 CEO는 “우리는 AI의 선순환(virtuous cycle)에 진입했다. AI는 모든 곳에서, 모든 것을, 동시에 하고 있다”고 말하며 폭발적 수요가 지속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시장을 더 들뜨게 만든 건 다음 분기 전망이었다. 엔비디아는 4분기 매출을 650억달러로 제시했다. 시장 예상치를 약 30억달러 웃도는 수치다. 발표 직후 엔비디아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최대 6.5% 급등했고, 기술주 전반으로 매수세가 퍼졌다. 시장에 번지던 AI 투자 피로감이 순식간에 ‘기대감’으로 뒤바뀐 순간이었다.

사실 최근 시장 분위기는 심상치 않았다. 소프트뱅크가 엔비디아 지분 58억달러어치를 전량 매도했고, 피터 틸 계열 펀드와 ‘빅쇼트’의 마이클 버리도 엔비디아·팔란티어 등 AI 대표주에 대한 공매도를 확대했다. 글로벌 펀드매니저의 45%가 “AI 버블이 시장 최대 리스크”라고 답할 정도로 불안심리가 고조돼 있었다. 그러나 엔비디아의 실적은 이러한 우려를 뿌리째 뒤흔들었다.

이 같은 우려를 의식한 듯 황 CEO는 실적 발표 후 “AI 버블에 대한 말이 많지만, 우리의 관점에서는 매우 다른 모습이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사업은 매우 강하다. 우리는 매우 강한 한 해를 위해 좋은 계획을 세웠다”고 덧붙이며 시장의 과도한 비관론을 반박했다. 블랙웰 GPU의 기록적 판매는 AI 투자가 단기 과열이 아니라 구조적 확장의 과정이라는 점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AMD·브로드컴·퀄컴 등 후발주자의 추격에 대해서도 황 CEO는 “대체 칩을 시험한 고객들이 다시 우리 생태계로 돌아오는 경우가 더 많다”고 말하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엔비디아는 여전히 AI 가속기 시장 점유율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