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우식 보이콧' 사태 놓고 민주당 중앙·지방 '엇박자'

해외

이데일리,

2025년 11월 20일, 오후 05:24

[수원=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성희롱과 혐오 앞에서 입을 닫는 정당은 국민의 삶과 존엄을 책임질 최소한의 자격조차 없다.”(김연 민주당 선임부대변인)

“이번 사태의 책임은 명백하게 조혜진 비서실장에게 있다. 책임 있는 공직자로서 경솔한 행동이다.”(장한별 민주당 경기도의원)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위원회 행정사무감사(행감) 보이콧 이틀째인 20일, 더불어민주당 중앙당과 도의회에서 각각 나온 발언들이다.

직원을 상대로 한 성희롱 발언으로 재판에 넘겨진 양 위원장의 행감 의사진행을 경기도 공무원들이 거부하면서 시작된 이번 사태를 둘러싼 민주당 중앙당과 지방의회의 상반된 시각을 보여준다.

지난 19일 경기도 공무원들의 행정사무감사 수감 거부로 정회한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위 회의실 모습.(사진=경기도의회)
김연 민주당 선임부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양우식 경기도의원은 도의회 직원에게 입에 담기도 거북한 성희롱 발언을 한 혐의로 검찰에 기소된 상태”라며 “그런데도 양 의원은 위원장직을 유지한 채 행정사무감사 주재를 강행하려 했고, 도 집행부와 노동조합은 이에 맞서 ‘기소된 위원장이 감사를 주재하는 것은 도민 신뢰 파괴’라며 출석을 거부하고 있다”고 했다.

김 부대변인은 이어 “국민의힘 내부에서 일어난 사태의 공통점은 분명하다. 가해자는 보호하고 피해는 축소하고 인권은 부차적 문제로 취급하는 문화, 이것이 바로 현재 국민의힘의 실체라는 것”이라며 “이러한 정당이 어떻게 ‘국민’을 말할 수 있냐? 인권을 이해하지 못하는 정당, 약자를 조롱하는 정당, 성희롱과 혐오 앞에서 입을 닫는 정당은 국민의 삶과 존엄을 책임질 최소한의 자격조차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더불어민주당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인권과 존엄이라는 민주주의의 핵심 가치를 굳건히 지키며 책임 있는 정치를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반면 경기도의회 민주당은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의 화살을 양 위원장이 아닌 경기도 집행부로 돌리고 있다.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더불어민주당·시흥3)은 지난 19일 입장문을 내고 “이번 사안은 단순한 이견이나 내부 갈등의 차원을 넘어, 지방의회의 감사권을 정면으로 부정한 중대한 사안”이라며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사과를 요구했다.

김진경 의장은 “경기도의회는 그 어떤 이유로도 법에 따른 행정사무감사를 개인에 대한 논란과 연계해 거부하는 행위를 용납할 수 없다. 감사 출석 거부는 지방의회의 기능을 훼손하는 중대한 일이며, 명백한 의회 경시”라고 도 집행부를 질타했다.

민주당 소속 장한별 의회운영위 부위원장(수원4)은 여기에 더해 조혜진 비서실장의 사퇴를 촉구하기까지 했다.

장 부위원장은 20일 의회운영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의사진행 발언을 통해 “이번 사태의 책임은 명백하게 조혜진 비서실장에게 있다. 책임 있는 공직자로서 경솔한 행동으로 도민의 대의 기관인 경기도의회를 무시하고 행정사무 감사라는 것 자체를 무력화시켰다”라고 규정했다.

장 부위원장은 이어 “이번 사태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은 경기도의회 의장님의 성명에 따른 경기도지사의 진심 어린 사과와 공직자로서 신분을 망각한 조혜진 비서실장이 스스로 사퇴하여서 그 책임을 지는 방법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일련의 상황과 관련해 경기도청 직원들이 이용하는 익명 게시판에는 ‘성희롱 문제 삼은 게 의회를 경시한 거냐? 범죄자에게 상임위 맡기고 아무 말 못하는 의장과 의회는 경시할 만하다’, ‘지금 이 시점에서 가장 의회를 경시하는 이들은 성희롱 발언으로 물의를 빚은 위원장을 수개월이 지나도록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은 경기도의회 그 자체’ 등 반응이 나왔다.

한편, 양우식 위원장은 지난 5월 9일 ‘저녁에 이태원을 간다’고 한 운영위 소속 남성 직원에게 “남자랑 가냐? 여자랑 가냐?”고 물어본 뒤 “쓰○○이나 스○○ 하는 거야? 결혼 안 했으니 스○○은 아닐 테고”라는 성희롱 발언을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여기서 ‘쓰○○’과 ‘스○○’은 모두 변태적 성행위를 일컫는 단어들이다.?

피해 직원은 같은 달 도청 직원 내부게시판에 해당 내용을 폭로했고, 경찰에 양 위원장을 고발했다. 이후 경찰로부터 기소의견을 송치받은 검찰은 지난달 30일 양 위원장을 모욕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