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밸리 스트림의 한 매장에서 월마트 추수감사절 상품 바구니의 일부인 버터볼 냉동 칠면조가 판매용으로 진열돼 있다. (사진=로이터)
19일(현지시간) 미국 농업국연맹(AFBF)의 연례 조사에 따르면 올해 추수감사절 식사의 평균 비용은 55.18달러로 지난해보다 5% 하락했다. 이는 202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칠면조(7.3kg) 가격이 16.3% 떨어진 게 주된 요인이다.
고무적인 숫자 하락 이면에는 여전히 생활비 부담이 짙게 드리워져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1기 시절인 2019년 추수감사절 식사 비용과 비교하면 여전히 13% 높은 수준이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과 인플레이션 영향이 아직도 가계에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조사에서 주목할 점은 반찬 가격의 급등세다. 냉동 완두콩 가격은 지난해보다 17.2%, 고구마는 37% 올랐다. 특히 신선 채소 세트는 무려 61.3%나 급등했다. 반찬 가격이 급등한 것은 농장 인력 부족으로 농장 인건비가 치솟았기 때문이다.
AFBF는 “곡물 가격이 낮아져 일부 품목(속 재료, 저녁빵 등)은 싸졌지만, 전체적으로는 공급망 비용 압력이 여전하다”고 설명했다.
먹거리 가격 상승 속에서 농촌 지역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AFBF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약 1만5000곳의 가족 농장이 폐업했다. 저조한 농작물 가격과 높은 공급비용, 무역 불확실성 등 겹악재가 맞물린 탓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이민 단속 강화 정책은 미국 농업의 핵심 노동력을 담당해온 히스패닉계 이민자들의 일자리를 위협하며 인력 부족 문제를 심화시키고 있다. 이들은 오랜 기간 농장의 주요 노동력으로 자리매김해 왔지만, 체류 자격 강화와 추방 확대 조치로 고용 불안과 생계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과의 무역 갈등은 또 다른 충격을 안겼다. 중국이 미국의 고율 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로 미국산 대두 수입을 중단, 미 농가는 재고 누적과 가격 하락으로 피해를 입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가맹점주 행사 ‘맥도날드 임팩트 서밋’에서 연설하고 있다.(사진=AFP)
추수감사절을 앞두고 식료품 가격 상승이 미국 정치권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인 지난 1월 백악관에 복귀하며 ‘물가 안정’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전반적인 물가 하락은 좀처럼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인플레이션 압력도 지속하고 있어서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3.0% 상승하며 지난 1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최근 3년간 가장 가파른 상승폭으로, 전체 품목의 절반 이상이 3% 이상 가격이 올랐다.
트럼프 행정부는 물가 부담을 의식해 소고기, 바나나, 커피, 코코아 등 주요 농산물에 부과했던 수입 관세를 낮추거나 철폐했다. 최근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인플레이션 문제를 파고들어 승리를 거두자 중남미산 농산물 관세를 되돌리는 쪽으로 방향을 튼 것이다. 또한 여론조사에서 생활비 부담이 트럼프 행정부의 지지율을 떨어뜨리고 공화당 후보들의 선거 성적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새로운 정치적 역풍에 직면한 가운데 행정부가 물가를 낮추는 데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주장하며 높은 비용의 원인이 자신의 관세 정책에 있다고 비판하는 민주당의 주장에 반박하고 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