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라이칭더 총통 페이스북
이는 전일 일본 정부에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중단할 것이라고 통보한 중국 정부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이달 초 2년여 만에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재개했으나, 약 보름 만에 다시 수입 중지를 결정했다. 중국 측은 일본이 현재 약속한 기술 자료를 제공하지 않았다고 이유를 설명했으나 사실상 다카이치 총리에 발언에 대한 보복 조치로 평가된다.
중·일 관계는 이달 7일 다카이치 총리가 중의원(하원) 예산위원회에서 “대만 유사시는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 악화됐다. 일본 정부는 내부적으로 대만이 공격받을 경우 존립위기 사태로 볼 수 있다고 판단했으나 일본 현직 총리가 공식적으로 이 같은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후 중국 정부와 중국 관영 매체는 연일 강경한 발언을 쏟아내면서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일본은 사태 수습을 위해 가나이 마사아키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을 베이징에 급파해 류진쑹 중국 외교부 아주사장(아시아국장)과 만나 고위급 회담을 진행했으나 사태는 완화되지 않고 있다. 일본은 사실상 해당 발언이 정부의 기존 입장과 부합한다며 이를 거부하고 있다.
린자룽 대만 외교부장(장관)은 국회에서 기자들에게 “중국은 경제적 강압과 군사적 위협을 통해 다른 나라들을 괴롭혀 왔으며 그 사례는 일일이 나열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다”면서 “이 중대한 시점에 일본이 상황을 안정시키고 중국 공산당의 ‘괴롭힘’을 막을 수 있도록 대만도 일본을 지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후 국회 답변에서도 대만 국민들이 일본을 방문하고 일본 제품을 더 많이 구매해 양국 간 우의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과 대만은 공식 외교관계는 없지만 매우 긴밀한 비공식 관계와 깊은 문화·경제적 연대를 갖고 있다. 대만은 1895년부터 제2차 세계대전 종전인 1945년까지 50년간 일본 제국주의 통치 아래 있었다. 일본의 가장 서쪽에 있는 오키나와현 요나구니섬은 대만과 불과 110㎞ 떨어져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