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니가타현에 위치한 가시와자키 카리와 원자력 발전소. (사진=AFP)
블룸버그는 자체 입수한 니가타현 내부 문서를 인용, 하나즈미 히데요 니가타현 지사가 이날 가시와자키 카리와 원전 6호기와 7호기의 재가동을 승인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하나즈미 지사는 또 다음달 니가타현 의회에서 자신의 결정에 대한 신임 여부를 요청할 예정이다. 주민들의 의사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지역 주민 동의 절차를 마치겠다는 복안이다.
원전 재가동의 마지막 주요 관문이 사실상 해소되는 셈이어서, 일본 원자력 정책의 대전환을 의미한다고 블룸버그는 해석했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 계기 후쿠시마 제1원전 폭발 사고 이후 도쿄전력이 운영하는 원전들 가운데 처음으로 재가동되는 사례가 될 것으로 보여서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그동안 가시와자키 카리와 원전 조기 재가동을 추진해 왔다. 최대 걸림돌은 지역 주민들의 동의였다. 블룸버그는 “일본이 원자력 발전을 다시 받아들인다는 점에서, 특히 오랫동안 가시와자키 카리와 원전 재가동을 기다려온 도쿄전력에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짚었다.
동일본대지진 이전까지만 해도 일본 내 가동중인 원자로는 한때 최대 54기에 달했으나,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 이후 모든 원전이 가동을 중단하기도 했다. 현재 일본 내 33기 원자로 중 14기만이 재가동 허가를 받았으며, 나머지 대부분은 여전히 멈춰있는 상태다. 이 때문에 일본은 전력 부족에 자주 시달리는 등 에너지 안보가 취약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에 따라 이번 가시와자키 카리와 원전 재가동은 일본 정부의 탈탄소·에너지 안보 강화 측면에서도 상징적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시와자키 카리와 원전 6·7호기를 모두 정상 가동하면 2710메가와트(MW)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는 일본 동부 전력망의 청정 전원 확대 및 탄소감축, 수입 가스·석탄 의존도 저감에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나즈미 지사는 이날 오후 4시 기자회겸을 열고, 가시와자키 카리와 원전에 대한 최신 안전기준 적용 등 일본 정부에 여러 추가 대책을 요구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