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자유시보 등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대만 집권당인 민진당의 치우이잉 입법위원(국회의원)은 이날 입법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적기 항공사와 관광청이 일본 여행 지원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라이칭더 대만 총통의 ‘초밥 인증샷’과 아베 신조 전 총리의 ‘파인애플 인증샷’. (사진=연합뉴스/페이스북)
황제 의원도 “대만은 일본이 외롭다고 느끼지 않게 해야 한다”며 “일본 수산물을 더 많이 구매하기, 일본 여행 더 많이 가기 등의 실제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가오슝시(市) 시장도 지원 사격에 나섰다. 민진당 소속 천치마이 가오슝 시장은 이날 “가오슝시는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를 지지한다”며 일본과의 교류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1년 중국이 대만산 파인애플 수입을 금지하자 일본이 이를 대신 수입하고 나선 일화도 다시 언급되고 있다. 왕딩위 의원은 당시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대만 파인애플을 들고 인증샷을 찍었던 걸 언급하며 “대일 우호를 발휘할 기회가 왔다. 일본 관광 및 일본산 제품 소비에 힘을 보태야 할 때”라고 말했다.
대만 정치인들은 아베 전 총리처럼 일본 수산물 인증샷에 나섰다. 린자룽 대만 외교부장은 전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오늘 밤은 제가 한턱내며 직원들의 노고를 위로했다”며 “일본산 가리비 사시미를 큰 접시로 주문했다”는 글을 게재했다.
대만은 이날 일본 후쿠시마산 식품 수입에 부과했던 제재를 모두 해제하기도 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대만 식약서는 이날 “일본산 식품에 대한 안전관리 조치가 정상화된다. 이는 즉시 발효한다”고 밝혔다.
이어 “2011년 이후 국경 검역으로 일본산 식품 27만 건을 방사능 시험한 결과 통과하지 못한 경우가 0%였다면서 ”일본산 식품의 추가적인 방사능 노출 위험에 대한 위험평가는 ‘무시해도 될 수준’“이라고 말했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사진=AFP)
해당 발언으로 점화된 중·일 갈등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중국은 해당 발언이 내정 간섭이라며 일본 측에 강하게 항의하는 동시에 일본 관광 자제 권고, 일본산 수산물 수입 재중단, 일본 영화 신규 상영 승인 보류 등 경제적 압박을 가하고 있다. 다만 아직 희토류 공급 차단 가능성은 언급하지 않은 상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