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사진=AFP)
26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다카이치 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대만 유사시 관련 발언에 대한 질문을 받고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할 의도가 없었다”며 “정부의 이전 답변을 그대로 반복하는 것만으로는 경우에 따라 예산위원회가 멈춰서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국회의원들은 모든 국민을 대표하는 사람들이고, 내가 구체적인 사례들에 대해 질문을 받았기 때문에 그 맥락 안에서 성실히 답변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또 일본에 있어 무엇이 ‘존립 위기 사태’에 해당하는지와 관련해 “정부가 모든 이용 가능한 정보를 고려해 개별 사안별로 판단한다”는 공식 입장도 재확인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대만 유사시 일본의 집단 자위권 행사 요건인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발언, 군사 개입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후 중국은 내정 간섭을 주장하며 경제적·외교적 보복을 지속하고 있다.
두 아시아 경제 대국 간 갈등은 현재까지 완화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으며, 그 여파는 중국의 적국이자 일본의 동맹국인 미국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통화를 한 데 이어, 다카이치 총리와도 통화를 가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