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7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하고 있다.(제주도사진기자회. 재판매 및 DB 금지) 2025.4.3/뉴스1 © News1 오미란 기자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표는 전일 소상공인연합회 간담회를 통해 민생 경제 행보를 재개했다. 지난 3월 20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만난 이래로 13일 만이다.
이 대표는 간담회를 통해 "국민의 삶을 챙기는 것이 정치 본연의 임무"라면서도 "정치 때문에 오히려 경제가 더 나빠지는 상황이 오다 보니 큰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상공인 지원 정책에 힘을 쏟겠다고 약속했다.
최근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기일을 4일로 지정하기 전까지 '조속한 탄핵 선고일 지정'을 강조하며 당과 함께 비상 행동에 나선 것과는 다른 그의 행보다.
탄핵 선고일 지정 뒤 이 대표가 민생 행보에 다시 집중하는 것은 윤 대통령의 파면을 확신하는 의지를 담은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당 관계자는 "윤석열 파면이라는 결론은 이미 정해져 있었고 이 결과를 하루속히 빨리 내달라는 게 당의 주장이었다"며 "확신을 안 할 이유가 없다"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전일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결과의 승복 여부와 관련해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오히려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 시 발생하는 조기 대선 정국을 대비해 이 대표의 민생과 통합 행보 일정 잡기를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거부한 상법 개정안과 소득세 개편에도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상법 개정안은 국내 주식 투자자들을 겨냥한 대표적 민생 법안이며, 소득세 개편도 '근로자들의 조세 부담을 줄여준다'라는 내용이 핵심이기 때문에 민생 법안에 속한다.
이 대표는 조기 대선 시 자신의 공약이 될 수 있는 주요 정책을 재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며 대선 후보로서의 면모를 강조하는 모습이다.
4일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을 파면할 경우 이 대표는 당대표직을 사퇴하고 대권 도전을 공식화할 예정이다.
mine12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