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김동연, 김경수 후보가 '재정 안정'을 이유로 증세의 필요성을 강조하자 이재명 후보가 '국민 부담'을 근거로 반대 주장을 내면서 각이 섰다.
이 후보의 독주체제가 예상되면서 민주당 대선 경선의 흥행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18일 후보 간 첫 TV 토론회에서 증세 문제로 세 후보 간 치열한 정책 공방이 펼쳐질 전망이다.
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인 이재명·김경수·김동연 후보는 이날 첫 TV토론회에서 공약 경쟁을 벌인다. 민주당에 따르면 세 후보는 이날 오후 MBC 상암 스튜디오에서 당 대선 경선 후보자 토론회를 진행한다.
경선 레이스 시작 이후 후보들이 '행정수도 세종시 이전', '인공지능(AI) 투자' 등 공약을 쏟아내고 있는 만큼 이날 토론회에서는 정책과 관련한 열띤 토론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번 토론회에서는 조세정책을 두고 후보자들 간 치열한 신경전이 예상된다. 다른 주제와 관련해서는 후보자들 간 큰 틀에서 비슷한 공약을 내세우고 있지만 증세와 관련해선 입장이 다르기 때문이다.
김동연·김경수 후보가 증세론을 주장하고 나섰지만 유력 주자인 이재명 후보는 전날 이에 반박하는 입장을 내놨다.
이어 "재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손쉽게 증세 얘기를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며 "우선은 국가 재정을 효율적으로 재편성하는 데서 가능성을 찾아야 하지 않겠냐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했다.
이에 김동연·김경수 후보는 곧장 반박하는 입장문을 내놨다.
김동연 후보는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인 복지국가로 가기 위해 증세는 불가피하다"며 이 후보를 겨냥해 "그와 같은 주장은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직격했다.
김경수 후보도 "지금 국가 재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선 감세 정책을 펼치기보다 윤석열이 망가뜨려 놓은 상황 이전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적어도 재정 악화 상황을 해소할 수 있도록 다시 (조세부담률을) 22% 이상으로는 높여야 한다. 그렇게 해도 OECD 평균 25%에 도달하기엔 아직도 먼 길"이라며 "세수 결손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재정 확장 정책이 가능할 리 없다"고 강조했다.
전날 전초전을 치른 세 후보는 이날 열리는 TV 토론회에서 '조세정책'의 구체적인 방안을 갖고 열띤 토론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kha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