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김문수-이준석 3자 대결…‘빅텐트’ 이준석의 응답은

정치

뉴스1,

2025년 5월 11일, 오후 05:09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가 10일 대구 중구 동성로를 찾아 거리버스킹 연설을 하고 있다. (이준석 캠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5.10/뉴스1
6·3 조기대선을 23일 앞두고 대선 구도가 '이재명·김문수·이준석' 3자 대결로 확정됐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는 독주 체제를 굳히며 사법 리스크까지 털어낸 반면, 국민의힘은 단일화 내홍 끝에 김문수 후보를 확정짓고 뒤늦게 추격전에 나섰다.

이제 남은 유일한 변수는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의 '빅텐트' 참여 여부다.

후보 자격을 박탈당했다가 되찾은 김 후보는 이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대통령 후보 등록을 마친 뒤 "저희 당만 아니라 광폭의 빅텐트를 통해 국민을 통합하고, 국민 의사를 수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의원총회에서는 큰절을 올리며 "오늘부터 우리는 원팀"이라며 "함께 싸우고 함께 승리하자"고 결집을 호소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이재명 후보를 막기 위해선 보수가 힘을 합쳐야 한다"는 공감대가 강하다. 더욱이 이준석 후보가 지지율 두 자릿수를 넘지 못할 경우, 선거비용 보전이 어려운 점을 고려해 '합당 형식의 단일화'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준석 후보는 현재까지 빅텐트에 대해 "전혀 관심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후보는 <뉴스1>과의 통화에서 "완강한 거부" 입장을 밝히며 "이미 나갈 비용은 다 나갔기에 문제될 것이 없다"며 선거 비용 문제도 일축했다.

이 후보는 국민의힘과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거리두기 없이 빅텐트 참여는 없다는 입장이다. 이날 부산 명지시장 유세 뒤 기자들과 만나서도 "윤 전 대통령은 이번 선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완전히 잊혀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에서는 '반이재명' 구호 외에도 개헌 등 정치적 공감대를 넓힐 카드나 사과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준석 후보와 친분 있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이 후보 측과 비공식적으로 접촉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변수는 결국 지지율이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이날 발표한 대선 3자 가상대결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는 52.1%, 김문수 후보는 31.1%, 이준석 후보는 6.3%를 기록했다. 전주 대비 이재명 후보는 5.5%p, 김문수 후보는 3.3%p 상승한 반면, 이준석 후보는 1.2%p 하락했다.

국민의힘은 시간이 갈수록 이재명-김문수 간 양강 구도가 굳어질 것으로 보고,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이 추가로 반등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또 하나의 현실적 변수는 비용 문제다. 대선에서 10% 이상을 득표하면 선거비용의 절반, 15% 이상을 득표하면 전액을 보전 받을 순 있지만 그에 미치지 못할 경우 단 한 푼도 돌려 받지 못한다.

이 후보는 등록과 유세차 제작 등으로 이미 상당한 비용을 지출한 상태다. 득표율이 낮을 경우 채무는 고스란히 개혁신당의 몫으로 남게 된다.

국민의힘의 한 영남권 의원은 "득표율 10%를 넘지 못하면 보전도 못 받고 개혁신당의 빚으로 남는다"며 "2022년 안철수 후보처럼 합당을 전제로 한 단일화가 논의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재명-김문수가 박빙 접전을 벌이는 상황에서 이준석이 7%를 유지하면, 도왔으면 이겼는데 안 도와서 졌다는 평가가 따라붙게 된다"며 "결국 명분과 현실 사이에서 결단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구 여권 안팎에선 이 후보의 합류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도 나온다. 구 여권 관계자는 "돈보다 더 중요한 게 있다. 이준석 후보는 지금이 아닌 자신의 정치적 미래를 보고 판단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또 김 후보의 확장성이 제한적이고, 후보 교체 논란까지 있었던 만큼 이 후보가 지지율 10%를 넘어 15%까지 추가 상승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에 따라 이 후보가 독자 완주를 선택할 수 있다는 명분이 있다는 분석이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뉴스1에 이번 후보 교체 사태에 대해 "민주주의적 회복력과 다양성이 여전히 살아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지만, 당원들이 김 후보를 지지한 것이 아니라 지도부의 비상식적 행위에 대한 반발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 후보는 확장성이 부족하고, 현 시점에서 외연을 넓힐 만한 인물조차 없다"며 "'반이재명 빅텐트’란 명분으로 극단적 세력과 손잡을 경우 강한 역풍에 직면할 수 있다. 김 후보가 정치적으로 살아남으려면 윤 전 대통령의 출당부터 단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ngela020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