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피의자 신분으로 내란특검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 청사로 출석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
이어 “이번에는 변호인단도 나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변론 전략도 그렇고 윤석열 (전) 대통령의 행보도 그렇고 정말 이해가 안 된다. 이 부분이 사실 김건희 여사와는 많이 대비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건희 여사는 지금 우울증으로 입원했다가 일주일 만에 퇴원하고 기간도 짧게 했다. 휠체어를 타고 나오고 이런 것들이 변호사의 입장에서 놓고 보면 의뢰인에게 도움이 된다”며 “그런 것들은 기록에 쌓이기 때문에 나중에 양형에서도 분명히 나쁠 게 없다. 그래서 김건희 여사는 법률가적으로 봤을 때 상식적으로 움직이는데 윤석열 (전) 대통령은 이해가 안 되는 행보를 하는 것 같다”고 부연했다.
박 전 대변인은 윤 전 대통령의 조사 거부 등 배경에는 부부 구속을 막으려는 의도가 담긴 것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변호사들끼리 단톡방에서 한 번 화제가 된 적이 있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동시에 수사를 받는데 우리나라 법원이나 검찰이 인도주의적인 면이 있다. 그러니까 부부가 동시에 수사를 받으면 둘 다 동시에 구속하지를 않는다. 대표적인 사례가 조국, 정경심”이라고 언급했다.
또 “그래서 이게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금 들어가시려는 게 아니냐. 들어가서 김건희 여사가 (구치소에) 안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보호해주는 게 아니냐. 그래서 조국, 정경심 사례를 노리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오간 적이 있다고 했다.
박 전 대변인은 ‘김건희 여사 퇴원 당시 윤 전 대통령이 휠체어를 미는 모습이 전략이었다고 보는가’라는 진행자의 질문에는 “이 부분에서도 변호사들끼리는 이상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라며 “김건희 여사에 대해서 철저히 보호하고 있다는 느낌을 사실 받기는 한다”고 답했다.
이어 “윤석열 (전) 대통령은 계속 출석을 안 하고 거부하지 않느냐”며 “(출석 거부 시) 강제 수사의 방법들이 다 있는데도, 또 그걸 모를 분도 아니다. 검찰총장을 하셨던 분이다. 이런 절차가 있다는 걸 모를 분도 아닌데 저 행동을 하는 거는 이해가 안 되는 것”이라고 재차 말했다.
이에 대해 전날 ‘이슈앤피플’에 함께 출연했던 김지호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김건희씨를 위해 희생 번트를 대고 있는 것 아니냐. 그런 얘기를 박상수 변호사님도 우스갯소리고 얘기하시더라”고 했다.
김 대변인은 “휠체어를 타는 경우는 두 가지다. 다리가 불편하거나 음식물 섭취를 못 해서 기력이 없거나”라며 “그렇게 기력이 없으면 수액을 맞고 있다. 그런데 수액도 안 맞고 있었고 집에 와서 사과를 먹는 모습이 사진으로 포착됐다. 그럼 음식물 섭취에 별문제가 없다는 것인데 그러면 많은 분들이 뭔가 연출된 모습 아닌가. 그런 의심을 많이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