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이 11일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팀 사무실로 들어서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앞서 김 전 차장은 2023년 7월 31일 대통령 주재 외교안보 수석비서관회의 당시 상황에 대해 “윤 전 대통령이 채 상병 수사 결과를 보고받고 크게 화를 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기존에 “대통령이 격노한 적 없다”던 입장을 번복한 것이다.
이에 백승아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정권 실세였던 김태효의 격노설 확인으로 채 상병 순직 사건의 진실의 문이 열렸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롯한 대통령실, 국방부, 해병대로 이어지는 권력형 수사 외압의 실체가 명확히 드러날 수 있도록 특검의 성역 없는 신속한 수사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또한 백 대변인은 “윤 전 대통령의 격노 때문에 원칙대로 수사한 박정훈 대령은 엉뚱하게 항명 수괴로 몰렸고, 그 결과 사건은 은폐됐다”며 “채 상병과의 약속을 반드시 지키고, 해병대의 명예를 회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전 차장은 2023년 7월 31일 오전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 참석했던 인물이다. 당시 해병대 수사단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에게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한 조사 결과를 보고하자, 윤 전 대통령이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겠느냐”며 격노했고, 이로 인해 국방부 장관 등에게 수사에 외압을 행사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후 초동수사를 맡았던 박정훈 당시 해병대 수사단장이 항명 혐의로 기소되는 등 논란이 확산됐다.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사진=연합뉴스)
그는 “국민은 내란 동조와 불법 가담, 국민 배신 행위를 잊지 않고 있다”며 “윤석열 방탄 의원들은 역사와 국민 앞에 사죄하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