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2025.7.14/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보좌진 갑질 논란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종료됐다. 여권은 15일 강 후보자에 대한 추가 폭로 여부에 촉각을 세우면서도 전날(14일) 청문회에서 '한 방'은 없었다고 보고 그대로 임명하겠다는 기류다.
다만 야당이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 거부를 넘어 '위증 고발' 할 방침이고, 임금체불 진정이 있었다는 의혹을 새롭게 제기하면서 자진 사퇴나 이재명 대통령의 지명 철회를 촉구하고 있어 여론 추이는 주시할 방침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날 통화에서 "원래 (청문회) 1차 질의에서 충격적인 것을 던지는데 '한 방'이 없다"며 "민주당 지도부 반응도 '이 정도면 방어할 수 있다'는 분위기라 오히려 청문회가 강 후보자를 살려주는 것 같다. 대책 회의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도 일단 소명이 이뤄진 만큼 민심을 본다는 게 대체적 분위기다.
박상혁 원내소통수석부대표는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강 후보자 논란이 낙마 사유가 될지에 대해 "예상보다는 (사과하는) 태도가 국민에게 다가가지 않았나 자평한다"며 "저희는 시험 보는 입장이고 채점관으로 언론과 국민이 있으니 함께 살피며 의견을 모아보겠다"고 말했다.
문금주 원내대변인도 이날 원내대책회의 뒤 "현재는 다른 문제 제기는 없지 않나. 나름 충실히 소명했다고 판단한다"며 "(당내에) '2차 가해가 될 수 있으니 가급적 언급을 안 했으면 좋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확전'을 경계하는 것이다.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강 후보자가 본인 소명 뒤 부덕의 소치로 상처받았을 보좌진에게 진심으로 사과까지 했다.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소명하지 않았나 한다"며 "진정성 있게 했다고 생각하고 그렇게 받아들였으면 좋겠다"고 했다.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여당 간사 김한규 의원은 "어제 청문회를 하고 분위기가 생각보다 심각하지 않다"며 "청문보고서 채택이 쉽지 않을 텐데, 대통령이 최종 임명 여부를 결정할 때까진 시간이 있지 않나. 그사이 추가 보도나 제보가 나오는지 그 여론까진 봐야 한다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국회가 청문보고서를 채택하지 못하면 대통령은 10일 이내 기간을 정해 재송부를 요청할 수 있고, 이 기간에도 송부하지 않으면 대통령이 후보자를 임명할 수 있다. 김 의원은 이 기간의 여론이 중요하다면서 "면밀히 살펴볼 것"이라고 했다.
제1야당인 국민의힘이 강 후보자를 향해 총공세를 펴는 것도 변수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수치심을 아냐는 말을 강 후보자에게 되돌려주고 싶다"며 "이쯤 되면 본인이 알아서 거취를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여가위 야당 간사인 조은희 의원은 "(의혹을 제기한) 보좌진에 대한 법적 조치를 부정했지만 강 후보자 측 문건엔 '진행 중'이라는 표현이 명시돼 있었다. 명백한 위증"이라며 "이 대통령은 '갑질 여왕' 임명을 강행할 것인가"라고 지명철회를 촉구했다.
국민의힘은 이와 관련해 강 후보자를 청문회 중 위증으로 고발할 계획이다.
임금체불 관련 진정이 있었다는 새 의혹도 제기됐다. 조 의원은 고용노동부와 국민권익위원회에 요구한 자료가 이날 아침에야 제출됐다면서 "근로기준법상 임금체불 진정이 (강 후보자) 국회의원 사무실에 두 번이나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를 숨기려는 후보자가 약자보호 주무 부처인 여가부 장관이 돼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 내에선 국무위원 후보자 '전원 통과' '절대 낙마는 없다'는 기존 입장과는 달라진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홍익표 전 원내대표는 라디오 인터뷰에서 "결국 장관 후보자들, 특히 특정 후보자 몇몇 분은 논란에 대한 여론이 중요하다"며 "결국 여론이 너무 나빠졌을 땐 국민을 이기는 대통령은 없다"고 언급했다.
smit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