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이양수 의원은 “자료를 너무 불성실하게 (제출)해서 인사청문 자체가 어려울 정도”라면서 “주민등록법 위반, 선거법 위반, 학교 위장 전입 등이 의심돼 직계 비속에 대한 주민등록 초본을 요구했지만 거절됐다”고 말했다. 같은 당 강민국 의원은 “가족 관련 거의 모든 자료 요구에 대해 개인정보 제공 부동의 입장을 밝혀 사실상 봉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에 대해 권 후보자는 “학교에서 요구한 역할을 해서 받은 것이고, 여러 기업에서 받은 고문료도 실제로 자문과 협의에 참여했기 때문에 받은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유죄 판결을 받으면서 반환 의무가 생긴 경북도지사 선거비를 미납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선거 부채로 굉장히 힘들었을 때였다. 직접 확인하지 못한 불찰”이라고 사과했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도 자료 제출 문제가 도마위에 올랐다. 야당 위원들은 “방위병 복무 관련 자료요구나 서면질의를 통해 그 이유를 물었으나 개인정보 제공을 동의하지 않고 안 후보자는 ‘청문회장에서 밝히겠다’는 답변만 보내왔다”고 지적했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안 후보자는 “단기사병 소집을 받고 14개월이 끝난 1985년 1월 4일 소집해제 돼 대학교 3학년으로 복학했다”며 “그런데 6월쯤에 부대로부터 행정 오류로 인해 누락된 며칠을 더 근무해야 한다는 연락을 받아 8월 방학 때 남은 날만큼 복무했다”고 설명했다. 1985년 1월 소집해제 이후 대학에 복학했고 같은 해 8월 남은 기간을 복무했는데 재학 기간까지 복무기간으로 산정됐다는 것이다. 잔여복무를 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복무 기간 중 군인들에게 ‘점심’을 제공했다는 의혹으로 조사받은 기간이 누락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안 후보자는 ‘북한은 우리의 주적인가’라는 질문에 “김대중 정부 이후 ‘북한군과 정권은 적’이라는 방침은 명확했고, 저 역시 그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했다. 또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시기를 묻는 질의에 “이재명 정부 임기 중 전작권 전환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이에 대통령실은 안 후보자 개인 의견이라고 선을 그으며 “철저한 보고와 검토 과정 중에 있는 사안으로, ‘5년 안’이라는 등의 시한은 대통령실에서 나온 이야기가 아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