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장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2025.7.16/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인사청문회에서 "북한은 주적이 아니다"라고 발언한 것을 두고 국민의힘이 재차 압박을 이어갔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은 민생이 백척간두인데 부처와 관계도 없는 철 지난 색깔 논쟁의 장으로 전락시켰다"고 김영훈 후보자 보호에 나섰다. 국민의힘은 "국무위원으로서 국가 간 정체성 질의는 당연히 할 수 있는 영역"이라고 맞받았다.
여야 공방 끝에 김 후보자는 "우리를 위협한다면 당연히 주적"이라고 답했다.
與 "색깔론 모욕적…사과하라" vs 野 "당연히 질의해야"
여야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를 열고 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속개했다. 국민의힘은 오전 전체회의에서 김 후보자가 2011년 김정일 사망 당시 방북을 시도한 점과 이듬해 민주노총 위원장을 맡으며 노동자 통일 골든벨 행사를 열고 북한 체제 선전용 주장을 문제로 제출한 점을 집중 비판했고, 김 후보자가 북한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내야 한다고 주장하며 집단 퇴장했다.
박홍배 민주당 의원은 환노위 속개 후 "이렇게 민생이 백척간두에 서 있는 중요한 시기에 고용노동부 장관 인사청문회장을 부처와 관계도 없는 철 지난 색깔 논쟁의 장으로 전락시킨 국민의힘에 유감을 표한다"며 "국민의힘 위원님들께서는 북한은 모두 적이고 반공통일론만이 유일한 통일 방안이라고 생각을 하시는 것 같다"고 했다.
이어 "그리고 후보자에게 자신들의 생각을 강요한 것 같다. 심지어 김소희 의원께서는 '고용노동부 장관이 저런 생각을 갖고 있으면 북한 노동당 남한 지부가 될 것 같다'는 모욕적인 표현을 사용했다"며 "후보자뿐 아니라 청문회를 지켜보는 7822명의 고용노동부 직원에 대한 모욕이다. 김 의원께서 해당 발언에 대해 사과해주실 것을 요구한다"고 했다.
김주영 의원도 "'취약 계층, 일하는 사람들을 위해 고용노동부 장관이 어떻게 일할 것인가' 이런 부분으로 후보자 자격을 검증했으면 좋겠다"고 지원사격했다.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은 "(김 후보자는) 우재준 의원의 질의처럼 천안함이나 연평도 등 도발에도 불구하고 김일성 조문을 가기 위해 방북을 시도했다. 국무위원으로서 국가 간 정체성 질의를 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저는 민주당 의원님들의 이야기가 아닌 고용노동부 후보자 본인의 입장을 듣고 싶은 것"이라고 했다.
환노위 국민의힘 간사인 김형동 의원도 "(김소희 의원 등) 동료 의원을 보고 사과를 하라고 한다. 지목된 건 후보자인데, 후보자가 그걸(사과를) 원하십니까. 김소희 의원이 후보자에게 사과하기를 원하나"라며 "(의원이 후보자 대신 사과를 요구하는) 이건 뭔가 잘못돼도 한참 잘못됐다"고 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형동 간사를 비롯한 위원들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의 대북관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김 후보자는 인사청문회에서 야당 의원의 질의에 "북한은 주적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2025.7.16/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金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이라 걱정하신 듯"…'北 주적 맞나' 질의에 "예" 답변
여야 간 고성이 오가자 안호영 환노위원장은 "오늘 인사청문회는 후보자가 고용노동부 장관으로서, 또 국무위원 후보자로서 어떤 자질과 능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지 도덕성이나 정책적 측면에서 국민을 대신해서 여러분들이 검증하는 자리"라며 "여러가지 제기되는 문제에 대해 후보자가 명확하게 본인의 소신과 입장을 밝히는 것이 맞다"고 중재했다.
이에 김영훈 후보자는 "야당 위원님들께서 저에게 안보 문제나 이런 대북관을 질의하신 것은 생각건대 아마도 제가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이다 보니 이런 것들을 걱정하는 국민들을 대신해서 질문하신 것으로 이해한다"며 "다만 그 분야가 제 전문 분야가 아니다 보니 답변이 부족했다면 널리 양해 부탁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군사적으로 적대적이지만 교류협력의 대상이라고 하는 이중적 지론에 입각해서 통일부 장관 후보자의 말씀과 국방부 장관 후보자의 입장을 지지한다고 말씀드렸다"며 "제가 만약 국무위원이 된다면 대한민국과 국민의 이익을 최우선적으로 보호해야 하고, 우리 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평화통일이라는 헌법수호의 정신에 한 치의 흐트럼짐 없이 제 업무를 다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 후보자의 답변을 두고 야당 의원들 사이에서는 '발언 중에 주적이라는 글자가 안 나왔다'고 비판이 제기됐다. 김형동 의원이 재차 김 후보자의 명확한 답을 요구하자 여당에서는 고성이 터져나오기도 했다.
김소희 의원은 질의에 앞서 "오늘 위원장님이 대한민국을 위협하는 것은 주적이라고 말씀을 주셨다. 작년에 김정은은 대한민국을 주적이라고 얘기했다"며 "거기에 입각한다면 후보자께서는 김정은을 주적이라고 말씀하신 게 맞나"라고 했다.
김 후보자가 "우리 대한민국을 위협한다면 주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하자, 김 의원은 "지금 북한에서 미사일을 종종 쏘고 있는데 우리를 위협한다고 생각하지 않나"라고 되물었다. 이에 김 후보자는 "위협이라 생각한다"고 답했다.
김 의원이 "그러면 김정은이 주적 맞나. 답을 '네'라고 해주시면 된다"라고 재차 묻자, 김 후보자는 "예 맞습니다"라고 답했다.
sos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