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철수(왼쪽부터), 조경태, 장동혁, 김문수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가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채널A스튜디오에서 8·22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권주자 간 첫 방송토론회 준비를 하고 있다. 2025.8.10/뉴스1 © News1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 8·22 전당대회를 앞둔 당대표 후보들이 10일 첫 토론회를 마친 뒤 여전한 입장차이를 드러냈다.
찬탄(탄핵 찬성) 후보는 "여전히 비상계엄을 옹호하고 부정선거 음모론에 대해 선을 긋지 못하고 있다"고, 반탄(탄핵 반대) 후보는 "전한길 씨와 절연해야 할지 어떻게 해야 할 지는 직접 대화를 해봐야 한다"고 했다.
안철수 "계엄 옹호 주장 극단적" 조경태 "고구마 100개 먹은 듯 답답"
김문수·안철수·장동혁·조경태(가나다순)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채널A스튜디오에서 진행된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자 방송토론회를 진행했다.
'찬탄' 안철수 후보는 토론회 후 기자들과 만나 "극단적인 주장들 가운데서도 계엄을 옹호한다는지 이런 부분(들에 대한 비판은) 보수 후보나 진보 후보나 다 이야기할 수 있는 부분이지 않나"라며 "이건 이념적인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이걸 주장하는 사람들이 극단적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여러 혁신 방안을 말씀드리려고 했는데 그것에 대한 질문이 나오지 않았다"며 "그렇지만 우리 당이 어떤 문제를 갖고 있고, 어떻게 하면 고칠 수 있는지 내용이 전달됐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날 안 후보와 혁신 단일화를 제안한 조경태 후보는 "여전히 당내에 비상계엄을 옹호하고 부정선거 음모론과 명확하게 선을 긋지 못하는 후보가 계신다는 게 상당히 아쉽다"며 "어쨌든 그분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당내 극우세력의 목소리가 높아 보인다. 책임있는 정치인이라면 단호하게 부정선거 음모론자와 위헌적인 불법적인 비상계엄 세력들과는 선을 그어야 한다"고 했다.
김문수·장동혁 후보를 두고는 "참으로 답답하기도 하고 안타깝고, 오늘 토론회 하면서 고구마 한 100개 정도 먹는 기분이었다"며 "요건에도 맞지 않는 계엄을 했고, (윤 전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에서재에서 이미 파면됐어. 그걸 왜 자꾸만 옹호하거나 대변하는 모습 보이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국민의힘 당 대표 본경선에 진출한 장동혁·조경태·김문수·안철수 후보(왼쪽부터)가 8일 오후 대구 북구 엑스코(EXCO)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6차 전당대회 대구·경북 합동연설회에서 인사하고 있다. 2025.8.8/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장동혁 "결선 가도 제가 당대표", 김문수 '전한길 논란'에 "정당이지 재판소 아냐"
'반탄' 장동혁 후보도 기자들과 만나 "저는 분명하고 선명하게 제 입장을 말씀드리고 있고, 또 당원들께서 어느 지점에서 분노하고 실망하시는지를 정확하게 알고 있다"며 "제가 상승하는 추세는 계속될 것이고, 설령 결선에 가더라도 제가 당대표에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날 안 후보와 특검을 두고 논쟁한 것에 대해서는 "저희가 특검에 반대해 왔던 이유가 분명하지 않나. 야당이 되고 나서도 특검이 통과되면 야당을 완전히 문닫게 만들만들 것이다, 어떻게든 야당 없애려고 할 것이다"라며 "특검에 찬성하셨던 분들이 지금 와서 '무리한 수사다', '특검의 그런 정치 수사를 이해할 수 없다'고 말씀하시는 거 자체를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김문수 후보는 조 후보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해 '만고역적'이라고 한 것을 두고 "만고의 망언"이라고 했다.
당대표가 된다면 정청래 대표와 대화하지 않겠다고 한 것을 두고는 "우릴 죽이려고 칼을 들어서 목숨줄을 끊겠다는 사람과 대화하자는 건 일종의 기만이다. (국민의힘) 45명 국회의원을 다 제명하겠단 것도 철회해야 한다"며"며 "상대를 죽이자면서 대화를 하자는 것은 양두구육이다. 그것은 절대 안된다"고 했다.
합동 토론회에서 소란을 일으켜 징계에 회부된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를 두고는 "제가 당 지도부라면 전 씨를 불러서 주의를 주고 잘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정당이지 재판소는 아니지 않나"며 "다 징계하면 남는 게 누군가. 이 사람을 어떻게 할 것인지는 직접 대화를 해봐야 한다. 민주당이 뭐라 한다고 따라다닌다면 당이 사분오열 악화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sos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