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은수 대통령실 부대변인이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날 열린 비서실장 주재 수석보좌관회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전 부대변인은 이어 “강 비서실장은 전력 당국에 사전에 면밀한 계획 수립과 철저한 현장 점검을 주문했다”며 “또 재생에너지가 주력 전원으로 자리 잡아가는 상황에서도 국민과 기업이 정전 걱정 없이 일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터리 기반 ESS(에너지저장장치)를 신속히 확충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강 비서실장이 젠트리피케이션(임대료 상승으로 임차인이 내몰리는 현상) 방지 방안으로 소상공인 각자의 사업에 대한 검토도 주문했다고 전 부대변인은 밝혔다. 그는 “새로운 볼거리와 먹거리를 제공해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서울 경리단길·전주 한옥마을 등 지역 소상공인 수입 증대로 이어지고 있기도 하다”며 “한편으로 상권 활성화가 임대료 상승, 가성비 하락, 기존 소상공인 이탈을 거쳐 상권 침체로 이어지는, 이른바 젠트리피케이션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전 부대변인은 “강 비서실장은 그간 정부가 상가 임대차 보호법 제정을 통해 10년간 계약 갱신을 보장하고 임대료 인상을 제한하는 한편, 임차인 점포 매입 지원을 위한 융자 사업, 공공부문이 직접 상가를 조성해 저가로 제공하는 사업도 시행했지만, 기대했던 만큼의 실효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고 우려했다”고 전했다.
또한 “중소벤처기업부 등 소관 부처에서는 도심 상권 재생 사업, 관광 활성화 사업 등이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이어져, 성실히 일하는 소상공인이 삶의 터전에서 밀려나는 아픔을 겪지 않도록 소상공인의 점포 소유 지원 정책을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전 부대변인은 강 비서실장이 오프라인 민원 진행 안내 개선도 지시했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신문고에 접수되는 서신·방문 등 오프라인 민원은 연간 약 13만 건에 달할 정도로 빈번하게 접수되지만, 문자나 이메일로 진행 상황을 민원인에게 자동 안내하는 체계가 마련돼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전 부대변인은 이어 “강 비서실장은 민원은 단순한 서류가 아니라, 누군가의 절실한 사정이 담긴 목소리라며, 그 목소리가 어디까지 전달됐는지, 어떻게 다뤄지는지 안내하는 것은 행정의 투명성뿐 아니라 사람을 안심시키는 배려라고 했다”며 “국민권익위원회는 행정안전부와 협의해, 오프라인 민원 접수 시에도 온라인 민원과 동일하게 문자나 이메일로 단계별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민원 처리 기준과 담당자 업무 지침을 조속히 개정하고, 각 부처와 지자체에도 지침이 전파될 수 있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