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건희 여사의 의혹들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 대한 ‘통일교 집단 입당’ 의혹과 관련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당사에 도착한 특검팀이 당사에 진입하기 위해 승강기에 오르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이날 국민의힘을 향한 압수수색도 회의 취소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김건희 특검팀은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 대한 세 번째 압수수색을 시도했으며, 수사관들은 압수수색 영장을 지참하고 오전부터 당사 1층에서 대기했다. 국민의힘은 이에 맞서 7시간 넘게 대치했다.
특검은 이후 당원명부 관리 DB업체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국민의힘은 임의 제출 절차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이었으나, 특검은 강제 집행에 나섰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국민의힘 500만 당원 명부에 대한 압수수색이 진행되고 있고, 변호인들과 함께 강제 집행 과정에서 제기된 다양한 문제점들에 대해 이의 제기를 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같은 날 내란 전담 특별재판부 설치 법안을 발의해 갈등을 더욱 키웠다. 더불어민주당 3대 특검 종합대응특위는 ‘윤석열·김건희 등의 국정농단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전담재판부 설치법’을 내놨다. 이 법안은 △내란 특검 △김건희 특검 △채해병 특검 사건을 전담 재판부가 맡도록 하고, 특검 소관별로 영장 전담 판사를 두는 내용도 담고 있다. 여당은 기존에 내란 특검 사건만 분리 재판을 논의했으나, 이번에는 김건희 여사와 채해병 사건까지 확대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즉각 반발했다. 장동혁 대표는 DB업체 압수수색 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이 인민재판부라고 불리는 특별재판부를 설치하는 법안을 발의했고, 내일 법사위에서 처리한다고 한다”며 “국민적 역풍이 불고 있는 이 시점에 특검이 국민의힘의 생명과도 같은 당원 명부를 탈취하기 위해 다시 압수수색 영장을 들고 나타났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국민의힘이 당사를 지키며 당원 명부를 내줄 수 없다고 하자, 당원 명부를 관리하는 민간 업체까지 빈집 털듯 쳐들어와 탈취하려 하고 있다. 이번 주는 야당 탄압의 말 그대로 슈퍼위크”라고 주장했다. 또 “국민의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며 “국민들과 무도한 이재명 정권을 반드시 끌어내리겠다”고 날을 세웠다.
앞서 여야는 지난 8일 이재명 대통령과의 영수회담에서 협의체를 합의한지 9일인 지난 17일 오는 19일에 3+3 형식으로 여야 앞서 여야는 지난 8일 이재명 대통령과의 영수회담에서 협의체 구성을 합의하고, 17일 3+3 형식으로 19일 첫 회의를 열기로 했다. 협의체에서 우선 논의할 공통 공약은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K-스틸법’, 반도체·배터리 산업 지원을 위한 한국판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이었다.
그러나 이번 특검 사태와 민주당의 정부조직법 강행 처리로 협치 기류는 물거품이 됐다. 여야가 목표로 제시했던 25일 본회의 처리도 불투명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