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14일 서울 광진구 한강버스 뚝섬 선착장을 찾아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으로부터 사업 추진 현황 등에 대해 보고받고 있다. (사진=연합)
김 총리는 운항 현황을 보고받고는 “제가 제일 관심이 있는 것은 안전”이라며 “초반 한 달 (사고로 인해 운항을) 쉬었을 때 문제가 됐던 게 무엇이냐”고 물었다.
이에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이 전기 신호 오류와 운항 숙련 훈련 중 접촉 사고 등이 발생했다고 설명하자 김 총리는 “훈련이 부족해서 생긴 운항 상 문제가 크다고 보면, 배의 문제는 아니냐”고 묻기도 했다.
앞서 서울시는 9월 18일 한강버스 정식 운항을 시작했다가 결함 발생 등을 이유로 열흘 만에 운항을 중단하고 같은 달 29일부터 한 달여간 무승객 시범 운항을 거친 뒤 지난 1일 운항을 재개했다.
김 총리는 “(운영은) 시와 관련한 것이지만 안전 부분은 걱정된다. 책임감을 같이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운항 초반 발생한 문제와 한강 수상 보안관 채용 규모가 목표치에 미치지 못한 점 등을 언급하며 “안전 문제를 철저하게 챙겨달라. 제일 중요한 것은 첫째도 둘째도 안전”이라고 거듭 당부했다. 그러면서 “안전은 정부가 책임감을 갖고 챙겨야 하는 만큼 행안부도 (서울시와) 협조해 수시로 점검해달라”고 주문했다.
이날 현장에는 지역구 의원인 더불어민주당 고민정 의원,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이 동행했다.
또 김 총리는 수상스키 협회 등이 있는 수상레저 시설을 방문한 자리에서 한강버스 운항 이후 파도의 영향으로 수면이 크게 출렁인다는 현장 의견을 듣고, “이용객들의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앞서 김 총리는 초고층 재개발 논란이 불거진 종묘를 찾기 전 오 시장의 한강버스 정책을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언급하며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