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G20 정상회의 일정을 마치고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다음 방문지인 튀르키예로 향하는 공군 1호기에서 순방 기내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장에서 다카이치 일본 총리와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를 연이어 만난 일을 떠올리며 “약간 무리를 했다. 중국 총리와 회동을 하게 됐고, 이에 일본 측에 특별히 요청해 균형을 맞춰 (다카이치 총리와) 회동을 가졌다”고 소개했다. 한일 정상간 만남이 예정돼 있지 않았는데도 중일 갈등을 의식해 전략적으로 양국 정상 모두 만났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양측과의 회동에서 한국 입장을 충실히 설명했다. 곡해가 발생하지 않게 잘 협의했다”며 “지금 (한중·한일 관계에서) 위협요인이나 갈등요소가 추가되는 것은 없다”고 전했다.
연일 포화를 쏟아내는 중일 관계 속에서 일단 균형을 추구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한중관계 개선을 추구하면서도 한미일 안보연대 차원에서 일본과도 미래지향적 관계를 설정해야 하는 한국 정부로선 어느 쪽의 편도 들지 않지 않고 적당한 거리를 두는게 가장 중요하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일 갈등이 장기화할 가능성은 점점 확대 중이다. 이미 중국은 자국민의 일본 여행 자제,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등을 단행한 데 이어 유엔 사무총장에 일본 비판 서한을 보내고 국제원자력기구 회의에서도 일본을 비난했다.
다카이치 일본 총리도 “주장할 것은 주장해 나가는 것”이라며 발언을 철회할 뜻이 없다는 데에 못을 박았다. 고이즈미 신지로 방위상은 대만과 멀지 않은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섬과 요나구니섬을 시찰하고 중거리 미사일 배치 등 방위 계획을 언급하기도 했다.
양국의 갈등이 커질수록 일본은 한일 정상회담 등을 통해 밀착을 시도할 가능성이 크다. 내년 4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방중 계획을 세운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동 가능성이 있는 만큼, 우리 정부로선 한중관계 개선에 초점을 둬야 하는 시점이기도 하다.
조진구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일본연구센터장은 “중국과 일본 모두 한국에 손을 내밀 것으로 보이는데 과거처럼 ‘전략적 모호성’을 택하느냐, 좀 더 명확한 태도를 보이느냐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총리가 지난달 31일 경주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뉴시스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