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장경태 서울시당위원장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 '천만의 꿈 경청단' 출범식에서 대화하고 있다. 2025.11.25/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주도하는 '대의원과 권리당원 1인1표제' 도입에 당내 반대 목소리가 나오면서 최종 의결 과정이 진통을 겪고 있다.
당 일각에서는 영남권 등 당 열세지역 대의원에게 표 가치 비율을 일정 정도 보전하는 방향으로 보완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반면, 이같은 가중치가 호남권 역차별이라는 반박 의견도 만만치 않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당초 오는 28일 중앙위원회를 개최해 '1인1표제' 도입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하려 했지만 당내 논란 등을 고려해 회의 개최를 12월 5일로 일주일 연기했다.
민주당은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반영 비율을 '1대 1'로 하는 것을 오래 전부터 추진했다. 그 결과 과거에는 '2000대 1' 수준이었던 것이 지속적으로 낮아져 이재명 대통령이 당대표 시절에는 '100대 1'까지 축소된 바 있다.
이 대통령도 '당원주권 정당'을 표방하며 이를 '1대1'로 변경하는 것을 추진했지만 최종적으로 현재의 '20대1 이내'까지로 축소하는데 만족했다. 당원들의 우려 목소리를 충분히 고려하면서다.
정청래 당대표는 당대표 선거에 출마하며 이를 '1대1'로 하겠다고 공약했다. 대표에 당선된 직후 당내에 '당원주권정당 특별위원회' 등을 설치해 관련 사안들을 살펴봤고, 지난 19일과 20일 전당원을 대상으로 의견도 수렴했다.
해당 안건을 투표에 부친 결과 전체 권리당원 164만 5061명 중 27만 6589명이 참여(투표율 16.81%)해 86.81%의 찬성률을 기록했다.
이에 당무위원회와 중앙위원회까지 처리가 순탄해보였지만, 처리 시점과 절차적 정당성, 정 대표의 연임 포석 의혹 제기 등이 맞물리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급기야 일부 당원들은 '당헌·당규 개정안에 대한 의결 무효확인 가처분 소송'을 준비하겠다고까지 엄포를 놨다.
일단 '1인 1표제' 도입은 대세로 보인다. 문제는 '영남권'이라는 열세지역 대의원의 표 가치 비율을 떨어뜨리는 것이 형평성에 맞냐는 것이다.
지난 8월 2일 임시전당대회 기준으로 민주당의 전국 권리당원 수(대의원 포함)는 111만 명 정도였다. 당 강세 지역인 호남권 권리당원 수는 36만 5892명, 영남권은 9만 9642명이다. 호남권이 세 배 이상 많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당대표가 지난 8월 2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2차 임시전국당원대회에서 당대표로 선출된 뒤 당기를 흔들고 있다. (공동취재) 2025.8.2/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그러나 대의원 숫자는 비슷하다. 지난 대선후보 경선에서 대의원 선거인단 수를 기준으로 하면 호남은 3036명, 영남은 3053명이다.
'1인1표제'를 도입하면 대의원이 권리당원과 같은 위치에 놓이기 때문에 영남권의 목소리는 지금보다 더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에 영남권 대의원의 표 반영 비율에 차등을 두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강세 지역은 원안대로 '1대1'로 하되 영남권은 작게는 '2대1' 크게는 '3대1'로 하자는 것이다.
윤종군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와 인터뷰에서 "호남 의원들과 대화를 해보니 영남권 대의원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두는 것에 대부분 다 찬성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가중치 안은 지도부에 보고된 상황이다.
강득구 의원은 CBS라디오와 인터뷰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대구·경북에 1인 1표제가 도입되면 더 힘들어질 수 있다"며 "이런 부분에 대한 제도적 보완, 나름 당에 헌신한 대의원들 자존감을 지켜주면서 큰 틀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나 반대 주장도 만만치 않다. 당 핵심 관계자는 "지도부에서도 여러 안을 놓고 고민을 했고 그 중에 '가중치'도 있었지만 호남권에 오히려 역차별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 제외한 것으로 안다"며 "취지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나 실제 도입 시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당을 보고 호남정당이라고 하는데 지난 10여년간 호남 출신 최고위원 한 명 없었던 것도 사실이다"라며 "영남권에 가중치를 두는 것에 긍정적이라고 하나 호남권 인사들 중에서 공개적으로 이를 지지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이 순방 중에 당헌·당규 개정을 추진해 논란이 발생한 것은 아쉽다는 반응이나 일이 벌어진 만큼 수습에 전념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특히 정 대표의 연임 포석이라는 일각의 의심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우려를 제기했던 쪽에서 나오고 있다.
강 의원은 "정 대표가 산전수전 공중전까지 다 겪은 분인데 (자기정치를 위해) 그렇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했다.
윤 의원도 "이것은 절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지금의 구도를 정 대표와의 대결 구도로 몰아가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ickim@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