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오세훈 서울시장 (사진 = 이데일리DB)
오세훈 시장은 27일 국회에서 열린 서울시당 주거사다리위원회 토론회 직후 “지금 당에서 논의하는 7대 3을 지켜보며 선거 전 축소지향의 길로 가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우려를 표했다. 그는 “선거가 다가오면 어느 정당이든 핵심 지지층 결집으로 축소지향적 길을 걷다가도 결국은 확장지향의 길을 걷는다”며 “지금은 확장지향의 길을 가야 할 때”라고 경선 룰 변경에 신중함을 요구했다.
나경원 지방선거총괄기획단장의 서울시장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미묘한 긴장도 감지된다. 오 시장은 이에 대해 “제가 언급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하면서도 “사회적으로도, 정치적으로도 상식이라는 게 있다”고 말해 불쾌감을 우회적으로 드러냈다.
당내에서도 우려가 이어졌다. 서울시 당협위원장들은 이날 성명을 내고 “당심 70%·여론 30% 개편안은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지선이 우리 당에 불리한 구도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민심 반영 축소가 본선 경쟁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들은 “당심과 민심의 간극이 벌어지고 있다는 건 여러 지표로 확인된다”며 “지금 필요한 건 내부 결속이 아니라 민심 회복”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당심 확대가 실제 대세를 바꾸진 못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한 국민의힘 재선 의원은 “지난 한동훈 지도부 출범을 위한 경선에서도 당심 확대 시도가 있었지만 결국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다”며 “결국 중요한 건 당심·민심 비중보다 ‘역선택 방지조항’을 어떻게 설계하느냐다”라고 말했다.
당심 확대안을 제시한 나 의원은 당심 확대 반영은 필수적이라는 입장이다. 그는 전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정당의 기초 체력은 당원인데 책임당원 규모는 민주당 150만~160만, 국민의힘은 70만 수준”이라며 “국민의힘은 민주당보다 조직 기반이 약한 만큼, 당의 조직력을 국민 속으로 확장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울시장 출마설에는 “법사위 간사 역할을 하며 이재명 민주당 정권의 국가해체 만행에 대응하느라 고민할 겨를도 없다”면서도 “혹시라도 출마를 결심하면 내가 참여하는 경선에선 기존 룰대로 50:50을 적용받겠다”고 했다.
한편 민주당에서는 지선 예비 주자들이 속속 등장하며 ‘최고위 붕괴설’까지 거론된다. 서울시장 선거에는 전현희 최고위원이 출마 의사를 밝혔고, 박홍근 의원은 출마 기자회견을 마쳤다. 서영교·박주민 의원, 홍익표·박용진 전 의원, 정원오 성동구청장 등도 후보군에 오르고 있다. 경기지사에는 김병주·한준호 최고위원이 도전 의지를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김병주 최고위원은 전날 YTN 라디오에서 “경기지사 출마를 위해 사퇴를 준비하고 있지만, 황명선·서삼석 의원 등에게 물어본 결과 과반 사퇴는 없을 것”이라며 최고위 붕괴 전망을 일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