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항소포기' 국조 협상 또 결렬…"나경원 간사선임 못 받아"

정치

이데일리,

2025년 11월 27일, 오후 07:02

[이데일리 김한영 기자] 여야가 27일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관련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조사 협의에 나섰으나 협상이 결렬됐다. 더불어민주당이 나경원 의원의 법사위 간사 선임안에 대해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면서다.

[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우원식(가운데) 국회의장과 김병기(왼쪽) 더불어민주당, 송언석(오른쪽)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실에서 열린 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 기념촬영 후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송언석·김병기 양당 원내대표와 유상범·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법사위 국조 관련 협상에 나섰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유상범 수석은 회동 이후 기자들과 만나 “오늘은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며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가 먼저 법사위 국정조사를 수용하겠다고 하며 송언석 원내대표가 세 가지 조건을 제시했으나, 민주당이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앞서 송 원내대표는 법사위 국조를 수용하며 △나경원 의원에 대한 법사위 간사 선임안 수용 △추미애 법사위원장의 회의 운영 방식 개선 △국조 증인·참고인 선정 시 여야 협의 등을 조건으로 제시했다.

문진석 수석은 이에 대해 “저희 당 입장은 법사위 국조를 수용하지만, 조건을 철회하고 수용하라고 제안했다”며 “국힘은 세 가지 조건을 수용해야 한다고 하며 입장이 엇갈렸다”고 강조했다.

최대 쟁점은 나 의원에 대한 법사위 간사 선임안이었다. 이 외의 조건들에 대해서는 민주당은 ‘받을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

문 수석은 질의응답에서 “특정인을 염두에 둔 간사 선임 문제는 여전히 입장이 팽팽하기 때문에, 이 문제가 좁혀지지 않는다면 쉽게 합의되기 어렵다”면서도 “추 위원장의 위원회 운영은 지도부에서도 얼마든지 말씀드릴 수 있고, 증인도 실무적으로 법사위원들끼리 합의할 수 있지 않나”라고 강조했다.

또한 간사 선임안에 대해서만 양보한다면 받을 수 있는지 묻자 “그렇게 된다면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고 본다”고 했다.

반면 유 수석은 “최소한 한 가지라도 들어달라고 요구했다”며 “가장 중요한 게 증인과 참고인은 합의로 가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수석은 “우리가 낸 세 가지 조건에 대해 조건을 걸지 않는다면 받겠다는 게 민주당의 입장”이라며 “어느 조건이 된다면 가능성이 있다고까진 나아가지 않았다”고 말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