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지난 26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를 방문해 참배 전 방명록을 쓰고 있다. 2025.11.26/뉴스1 © News1 김태성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가 '내란 척결' 등 강경 국정 메시지를 선도하고 있는 가운데 광주·세종·대전으로 이어지는 지방 민생 일정 등은 김 총리의 '정치적 행보'에 관한 해석에 한층 무게를 싣고 있다.
총리실은 '정례적 지방 일정'이라고 설명하지만 정치권에서는 김 총리가 국정 전면에서 체급을 끌어올리며 '정치적 지분'을 넓혀가는 흐름에 주목하고 있다.
2주 연속 광주행 가능성…'민주당의 심장' 찾는 총리에 커지는 관심
28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 총리는 지난 26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하고 오월단체 관계자들과 만나 "젊어서 광주로 청춘을 시작한 제가 총리가 됐다"며 "다 잘 사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어 기아 오토랜드와 1913송정역시장을 방문해 지역 민심을 들었다.
총리의 광주 일정은 다음 주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2주 연속 광주 방문이 현실화할 경우 '민주당 상징 지역'을 연속적으로 찾는 의미가 부각되면서 정치권의 관심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세종 AI 현장·대전 전통시장…'정례 일정'이라지만 정치적 폭은 확대
김 총리는 지난 26일 광주에 이어 27일 세종 AI(인공지능) 데이터센터에서 기업인들과 규제완화·데이터 정책을 논의했고, 28일에는 대전 중구 전통시장 상인들을 만나 지역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광주에서 세종, 대전으로 이어지는 연속 지방 일정은 총리실에 따르면 '통상적인 현장 점검 및 민생 일정'이다.
하지만 국정 메시지를 총리 스스로 선도하는 국면과 겹치며, 김 총리가 실질적인 전국 단위 정치적 존재감을 키우는 효과를 만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정치권 인사는 "광주에서 민심을 듣고, 세종에서 규제 현장을 챙기고, 대전에서 골목상권을 찾는 그림은 지역·산업·민생을 모두 묶는 구도"라며 "정치적 해석을 피하기 어려운 일정 구성"이라고 분석했다.
게다가 김 총리는 최근 헌법존중 정부혁신 태스크포스(TF)를 직접 챙기며 '내란 척결' 메시지를 연이어 내놓고 있다. 최근 서울시정 현안에서도 오세훈 시장과 공개적으로 각을 세우며 정부 입장을 직접 드러내는 등 총리의 '전면 배치'가 강화된 점도 이번 지방 행보의 정치적 무게를 더한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지난 27일 충북 음성군 대소면 화장품 제조기업 코스메카코리아에서 6회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앞서 피부 테스트를 하고 있다. 2025.11.27/뉴스1 © News1 윤원진 기자
與, 金총리 역할 촉각…'당대표 출마설' 솔솔
민주당에서는 김 총리의 '또 다른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서울시장과 당대표이다. 최근에는 후자에 무게가 실리는 기류다. 김 총리는 지난 24일 '매불쇼'를 통해 당대표 출마설과 관련 "제 맘대로 되는 것은 아니지만 총리를 좀 오래 시켜주셨으면 좋겠다는 얘기를 하고 있다"며 "현재 있는 일을 열심히 잘하겠다"고 했으나 '김 총리 역할론'은 계속해서 언급되고 있다.
장경태 민주당 의원은 26일 YTN 라디오에서 "김 총리는 국정에 전념하며 국민을 바라보는 국정운영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서울시장과 당대표 출마 가능성을 일축했다. 같은 당 박지원 의원도 YTN 라디오에서 "권노갑 고문이 김 총리에게 당대표를 이번에 하지 말라, 다음에 하라는 것으로 설득했다"고 했다.
반면 전용기 민주당 의원은 BBS 라디오에서 "서울시장은 생각도 없으신 것 같고 오히려 당대표(출마)에 좀 가깝지 않나라는 생각"이라며 "약간 눈치를 봤을 때 가능성은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정치적 체급은 올라가고 있다"…출마 여부 떠나 존재감 확대
김 총리의 연속된 현장 일정 등이 정치적 존재감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는 데 정치권 안팎의 평가가 모이고 있다. 당대표 출마설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강경한 국정 메시지와 전국 현장 행보가 맞물리며 '총리 역할 강화' 흐름이 더 뚜렷해졌다는 것이다.
이종훈 정치 평론가는 "김 총리의 최근 행보를 보면 주목도가 있는 게 사실"이라며 "당대표나 서울시장 두 군데 모두 쓸 수 있는 카드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정황상 대통령 입장에서 총리가 당대표로 가면은 조금 더 국정을 더 원활하게 운영을 할 수 있지 않냐는 시각 때문"이라며 "정부 여당으로서의 기능을 정권 초기부터 확실히 해야 하니까 그런 말들이 나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mine124@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