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17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김상욱 무소속 의원이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열린 5·18 광주민주화운동 45주기 전야제에서 대화를 하고 있는 모습. 2025.5.17/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상욱 의원은 국민의힘 시절 의심받았던 아픈 기억 등으로 인해 당의 핸드폰 제출 요구를 거부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28일 새벽 SNS를 통해 지난 9월 초 '대법관 증원' 등 사법개혁안 외부 유출과 관련해 "저와 몇몇 사법개혁 특위 위원들이 당 윤리감찰단으로부터 대면조사 및 핸드폰 제출 요구를 받았다"고 했다.
지난 9월 8일 정청래 대표는 논의 단계인 '대법관 증원안'이 보도되자 유출 경위 등을 파악할 것을 조승래 사무총장과 윤리감찰단에 지시했다. 이에 윤리감찰단은 사법개혁안을 마련 중인 사법개혁특위 소속 의원들을 상대로 조사를 펼쳤다.
"잘못된 요구였기에 선례를 남겨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거부했다"는 김 의원은 이 일이 "'정청래 대표가 김상욱 핸드폰을 조사했다'는 식으로 왜곡돼 나돌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의원은 "정청래 대표와 한민수 당대표 비서실장과 상의한 결과 두 분이 제 입장을 공개할 것을 권유했다"며 "이번 일은 1인 1표제 논쟁과 직접 관련돼 이뤄진 일이 아니다"라며 정 대표가 '1인 1표제' 반대 의원을 색출하고 있다는 일부 시선은 틀렸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국민의힘 소속일 때 제가 참석하지도 않았던 의원총회 녹취록이 유출됐다며 비난을 받았고 권성동 원내대표가 저에게 탈당을 압박한 녹취가 보도돼 불법 녹음으로 고발까지 당했다"며 "당시 저는 핸드폰을 자리에 두고 이동하던 중 일방적으로 권 원내대표로 야단 들었을 뿐이며 여러 기자들도 봤던 일이었다"고 했다.
김 의원은 "이런 국민의힘에서 있었던 불편한 경험 때문에, 민주당 입당 후 핸드폰 제출 요구가 불쾌했고 실망감을 준 것은 사실이다"며 "동료 의원을 믿지 못한다, 심리적 압박을 주려 한다는 오해로 이어질 수 있기에 이런 시도는 앞으로 없었으면 한다"고 당에 당부했다.
그러면서 "사실과 달리 확대 해석돼 당의 화합을 저해하고 갈등을 유발하며 음모론으로 이어져서는 더더욱 안 된다"면서 "더 이상 불필요한 논쟁과 오해와 갈등을 줄이고, 화합과 존중으로 당원과 국민께 신뢰받는 민주당을 함께 건설해 가자"고 했다.
buckbak@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