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정 장관은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북한의 2026년 대남 부문 전략적 목표 또는 전략’을 묻는 김기웅 국민의힘 의원의 말에 “지금까지 나온 동향과 징후 등을 종합하면 북한은 ‘적대적 두 국가’를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 정부는 대결과 적대와 혐오의 정치적 이용이라는 부정적 유산을 청산하고 존중, 인정 그리고 평화 공존, 화해, 협력, 대화를 다시 복원하는 ‘한반도 평화 공존’의 새로운 원년을 열어야겠다는 신념이 있다”라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이를 위한 환경 조성의 결정적인 부분은 역시 북미대화의 개시”라면서 “북미 간에도 지금 6년 반 넘게 소통 단절이 이어졌는데, 이 부분을 다시 이어 남북관계의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현실적 목표”라고 강조했다.
또 정 장관은 “핵심은 지금 북핵 문제를 포함해 한반도 문제는 북미 적대관계의 결과물”이라면서 “북미 간 적대적 관계를 대화와 협상 분위기로 바꿔 내는 것, 전환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라고 판단했다.
또 정 장관은 적대적 남북관계를 풀어내기 위해 내년 4월 중국에서 개최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중 정상회담이 분수령이 될 것이라 봤다.
정 장관은 “내년 4월 미중 정상회담까지 남은 5개월이 관건”이라며 “이재명 대통령 취임 6개월 동안 한미, 한중, 한일 정상회담 등 주변을 다지는 데는 성공한 만큼, 북미 직접 회동, 남북 직접 대화 본론으로 들어갈 시기”라고 말했다.
아울러 “한반도 문제에 관해 영향을 가진 중국, 러시아, 일본, 미국 등 4대 강국을 상대로 적극적인 4강 외교를 펼쳐 나가야 한다는 게 제 신념”이라며 대북 특사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