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고성환 기자]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제2회 ‘K리그 명예의 전당’ 헌액자 6명을 발표했다.
선수 부문에는 김병지, 김주성, 데얀, 故유상철 4명이 헌액자로 선정됐다.
김병지는 1992년 현대 호랑이(현 울산HD)에서 데뷔 후 24년간 K리그에서 활약한 레전드 골키퍼다. 김병지는 컵대회 포함 K리그 통산 708경기에 출전해 무려 229경기에서 클린시트를 기록했다. 김병지는 골키퍼 포지션에도 불구하고 현역 시절 3골을 기록해 '골 넣는 골키퍼'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울산(1996년, 1998년), 포항(2005년), 서울(2007년) 소속으로 K리그 베스트일레븐에 총 4회 선정됐다. 김병지는 철저한 자기관리와 강한 정신력을 바탕으로 오랜 기간 K리그 무대를 지켰으며, 경기장 안팎에서 한국 축구의 상징적인 인물로 자리매김했다.
김주성은 1987년 대우 로얄즈(현 부산)에서 프로 무대에 데뷔해 화려한 기술과 강인한 체력을 바탕으로 ‘야생마’라는 별명을 얻은 K리그 최고의 만능 선수였다. 김주성은 K리그 통산 255경기에서 35골 17도움을 기록했고, 공격수, 미드필더, 수비수 등 세 개 포지션에서 모두 베스트일레븐에 선정된 K리그 최초의 선수다. 김주성은 1987년 데뷔 시즌 베스트일레븐 공격수 부문 수상에 이어, 1991년 미드필더 부문, 1996년, 1997년, 1999년에는 수비수 부문에서 베스트일레븐에 이름을 올리며 포지션을 넘나드는 전설이 됐다. 1997년 시즌 MVP에 올랐으며, 부산대우와 국가대표로의 활약으로 국내외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데얀은 외국인 선수 최초로 ‘K리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다. 데얀은 2007년 인천에서 K리그에 데뷔한 이후 서울, 수원, 대구 등 K리그에서만 총 12년간 활약했다. 데얀은 K리그 통산(리그컵 포함) 380경기 출전, 198골 48도움을 기록하며 최전방에서 압도적인 존재감을 드러냈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 연속 공격수 부문 베스트일레븐에 선정됐고, 2012년에는 K리그 MVP와 득점왕을 동시에 수상하기도 했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K리그 최고의 골잡이 데얀은 이동국(228골)에 이어 K리그 통산 득점 2위를 기록 중이다.
故 유상철은 1994년 현대 호랑이에서 프로 데뷔해 수비, 미드필더, 공격을 모두 소화했던 전천후 멀티플레이어였다. 1998년에는 K리그 득점왕에 오르며 뛰어난 득점력을 보여줬고, 김주성에 이어 수비수, 미드필더, 공격수 세 포지션에서 모두 베스트일레븐에 선정된 두 번째 선수가 됐다. 유상철은 K리그 통산 144경기에서 38골 9도움을 기록했으며, 이후 일본 J리그에서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은 뒤 2005년 다시 울산으로 복귀해 이듬해 현역에서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대전, 전남, 인천에서 감독을 맡아 지도자로서 제2의 축구 인생을 이어갔고, 특히 인천 감독 시절 암 투병 중에도 끝까지 현장을 지키며 많은 울림을 남겼다. 유상철은 2021년 영면 후에도 한국 축구계의 상징적인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지도자 부문 헌액자에는 김호 감독이 선정됐다. 김호 감독은 1988년부터 1990년까지 현대 호랑이, 1995년부터 2003년까지 수원삼성,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대전 시티즌의 감독으로서 K리그 통산(리그컵 포함) 208승 154무 181패를 기록했다. 김호 감독의 208승은 최강희 감독(229승)과 김정남 감독(210승)에 이어 다승 3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김호 감독은 1995년 수원삼성의 초대 감독으로 부임하여 신생팀 수원을 리그 최강팀으로 이끌었다. 1998년과 1999년 K리그 2연패를 달성했고, 이어 2000-2001시즌과 2001-2002시즌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현 AFC 챔피언스리그) 2연패, 2002년에는 FA컵(현 코리아컵) 우승을 이끌며 국내외 여러 대회들에서 정상에 올랐다. 김호 감독은 뛰어난 전술과 폭넓은 축구 시야를 바탕으로 수원삼성을 K리그 명문 구단으로 자리잡게 했으며, 수원 출신의 수많은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다.
공헌자 부문에는 정몽준 대한축구협회 명예회장이 이름을 올렸다. 정몽준 명예회장은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창설된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연맹의 초대 및 제2대 회장을 역임했다. 정몽준 회장 재임 중 K리그는 타이틀 스폰서 제도 도입, 전북, 전남, 수원, 대전의 창단을 통한 10개 구단 체제로의 확대, 지역연고제 정착 등 여러 발전을 이뤘다. 정몽준 명예회장은 1993년부터 2009년까지 대한축구협회장으로 재임하며 2002 한일월드컵 유치와 성공적 개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2002 월드컵이 가져온 국민적 축구 열기는 K리그 흥행으로 이어졌고, 전국 10개 도시에 건설된 월드컵경기장들이 이후 K리그 구단들의 홈 구장으로 활용되는 등 2002 월드컵은 K리그 인프라 발전과 인식 제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정몽준 회장은 FIFA 부회장 및 집행위원으로 활동하며 국제 축구계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기도 했다. 연맹은 K리그와 한국 축구의 체계화를 견인한 정몽준 회장의 업적을 기려, K리그 명예의 전당 공헌자 부문에 헌액하기로 했다.
‘K리그 명예의 전당’은 2023년 K리그 출범 40주년을 맞아 한국 프로축구를 빛낸 인물들의 공헌을 기리고 그들의 발자취를 K리그 역사 속에 남기기 위해 설립됐다. 2023년 초대 명예의 전당의 헌액자로는 선수 부문에 최순호, 홍명보, 신태용, 이동국, 지도자 부문에 김정남 전 감독, 공헌자 부문에 故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이 이름을 올린 바 있다.
이번 헌액자 선정은 ‘K리그 명예의 전당 헌액자 선정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진행됐다. 선수 부문은 선정위원회가 입후보 기본조건을 충족한 은퇴 선수 230명을 대상으로 논의를 거쳐 20명을 추천했고, 추천받은 후보를 대상으로 선정위원회 자체 투표(40%), 구단 대표 및 감독 투표(20%), 미디어 투표(20%), 온라인 팬 투표(20%)를 거쳐 4명의 헌액자가 최종 선정됐다. 지도자 부문과 공헌자 부문의 헌액자는 선정위원회 내부 합의로 선정됐다. 선정위원회는 ▲위원석 대한축구협회 소통위원장이 위원장을 맡았고, ▲조영증 전 강원FC 전력강화실장, ▲안기헌 전 부산아이파크 대표이사, ▲박재영 한국프로축구연맹 이사, ▲한준희 쿠팡플레이 해설위원, ▲이종성 한양대 스포츠산업학과 교수 등 총 6명으로 구성됐다.
연맹은 9월 중 ‘K리그 명예의 전당’ 헌액식을 열고 헌액자들을 초청해 트로피와 헌액증서를 수여할 예정이다. 이후 관련 구단 홈경기 초청 등 행사를 포함해 기념 영상 제작, 온라인 기념관 헌액 등 연중 이벤트를 통해 헌액자들의 업적을 알리고 기념할 예정이다.
< 헌액자 K리그 관련 개인 수상기록 >
▲ 김병지 (`92~`00 울산, `01~`05 포항, `06~`08 서울, `09~`12 경남, `13~`15 전남)
K리그 베스트일레븐 4회 ('96, `98, `05, `07)
▲ 김주성 ('87~`99 부산)
K리그 베스트일레븐 5회 (`87, `91, `96, `97, `99), K리그 MVP 1회(`97),
▲ 데얀 ('07 인천, `08~`13, `16~`17 서울, `18~`19 수원, `20 대구)
K리그 MVP 1회(’12) / 득점왕 3회(`11, `12, `13) / K리그 베스트일레븐 4회(`10, `11, `12, `13)
▲ 故 유상철 (`94~`98, `02~`03, `05~`06 울산)
K리그 득점왕 1회(`98) / K리그 베스트일레븐 3회(`94, `98, `02)
▲ 김호 감독 (`88~`90 현대, `95~`03 수원, `07~`09 대전)
K리그 우승 2회(`98, `99), K리그 올해의 감독상(`98, `99)
/finekosh@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