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HN 이주환 기자) 관중 사망 사고가 발생한 창원 NC파크를 둘러싸고, 이를 조사할 위원회의 공정성과 독립성을 두고 지역사회와 관계자 간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해당 사고는 지난 3월, 프로야구 NC 다이노스 홈경기 도중 외장 마감재인 ‘루버’가 추락하면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관중 1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으며, 이후 약 2개월간 NC의 창원 홈경기 일정이 중단됐다.
이에 따라 창원시는 4월 초 전문가 9명으로 시설물사고조사위원회(이하 사조위)를 구성하고 4월 23일 첫 회의를 열었다. 이후 사조위 요청에 따라 추가로 2명의 전문 인력이 위촉되며 현재는 총 11명으로 확대돼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조사 대상 중 하나인 창원시가 직접 위원회를 구성하고, 사고와 관련 있는 또 다른 이해관계자인 NC 다이노스를 조사하는 구조에 대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창원시가 사조위 회의 참여 수당 지급 주체라는 점에서 '셀프 조사' 우려도 함께 불거졌다.
이에 대해 NC 다이노스 측은 "구단은 진실 규명과 재발 방지에 적극적으로 협조할 의사가 있지만 지금의 사조위 공정성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공정성을 가진 사조위를 통해 사고 원인을 객관적으로 조사하고 재발 방지책을 찾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창원시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중앙시설물사고조사위원회 운영 규정에 따라 (위원들에게) 수당을 지급하고 있으며 동 규정 제6조의 2(위원의 제척·기피·회피)에 따라 공정한 사고 조사가 가능한 위원들로 구성해 위원회를 운영 중"이라고 반박했다.
또 이해 관계자인 창원시가 꾸린 사조위가 다른 이해 관계자인 구단을 조사하는 것의 부적절성에 대해 "공정성 논란을 불식시키고, 사고 조사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국토부 인력 풀을 최대한 활용해 위원회를 구성했다"며 "중앙시설물사고조사위원회 운영 규정 제8조와 제9조에 따라 위원장이 사고 조사가 명확하고 공정하게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창원시는 이어 "위원들은 위원장 지시에 따라 성실하게 조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창원시는 사조위 간사 업무만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조위 운영 방식에 대한 투명성 확보를 위해 위원회 구성 인력 및 회의록을 공개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 창원시는 "중앙시설물사고조사위원회 운영 규정 제15조에 의거, 위원회는 정보의 공개로 인해 정확한 사고 조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 이를 공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위원회에서 비공개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해관계가 얽힌 당사자가 위원회 구성과 수당 지급, 정보 비공개 결정까지 관여하는 구조 자체에 여전히 의문을 제기하고 있어, 향후 위원회의 신뢰 회복을 위한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진=연합뉴스,창원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