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이인환 기자] "축구계에 가장 흔한 대회 규정가지고 태클 걸 시간에 축구를 봐라".
신상우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6일 오후 7시 30분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3차전에서 대만을 2-0으로 제압했다. 이로써 한국은 대회 정상에 올랐다. 1승 2무, 승점 6으로 일본, 중국과 동률을 이뤘으나 삼자간 맞대결 다득점에서 가장 앞섰기에 우승 트로피의 주인공이 됐다.
한국 여자 축구의 레전드 지소연도 생애 처음으로 메이저 대회 트로피를 거머쥐었다. 그는 지난 2022 아시안컵에서 첫 결승 무대를 밟았지만, 중국에 2-3으로 패하며 아쉬움을 삼킨 바 있다. 하지만 이번 대회에서는 중국전 극장 동점골에 이어 우승을 손에 넣는 대만전 결승골까지 터트리며 우승의 주역으로 활약했다.
전반부터 골을 넣으면 무조건 우승하던 한국은 거칠게 몰아쳤으나 쉽게 골은 나오지 않았다. 기다리고 기다리던 선제골이 터졌다. 후반 23분 강채림이 박스 안에서 걸려 넘어지면서 귀중한 페널티킥을 얻어냈다. 키커로 나선 '맏언니' 지소연이 침착하게 차 넣으며 1-0을 만들었다.
한국이 쐐기골을 뽑아냈다. 후반 40분 김혜리가 우측면을 파고든 뒤 박스 안으로 컷백 패스를 건넸다. 장슬기가 이를 정확한 논스톱 슈팅으로 연결하며 골망을 갈랐다. 신상우호는 그대로 2-0 승리를 거두면서 이번 대회 챔피언 등극을 확정 지었다.
최종전까지 한국의 우승 가능성은 불투명했다. 중국-일본 상대로 2경기 연속 무승부를 기록하긴 했으나 만약 앞서 열리는 경기에서 누가 승자가 된다면 자동으로 승점 7로 우승이 확정되기 때문. 그러나 신상우호 입장에서는 천만다행히도 일본과 중국이 0-0으로 비겼다.
신상우호는 첫 경기에서 중국과 2-2로 비겼고, 일본을 상대로도 1-1 무승부를 거뒀다. 두 경기 다 경기 막판에 터진 지소연과 정다빈의 극적인 동점골로 승점을 챙길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 경기에서 대만을 잡아내면서 포기하지 않는 집념을 우승이라는 결실로 맺는 데 성공한 한국이다.
대만을 제외하고 승점 동률 3팀과 대결에서 한국은 3골, 중국은 2골, 일본은 1골을 넣었다. 이로 인해서 승점 동률인 세 팀간 경기의 다득점을 우선시하는 원칙에 따라 한국의 우승이 확정됐다. 어떻게 보면 중국전과 대만전 모두 끝가지 포기하지 않은 집념 덕에 만든 우승이다.
한편 2위 중국 팬들은 자신들이 우승이라고 주장하는 소동이 있었다. 만약 대회 규정이 순위를 승자 동률시 삼자 맞대결서 얻은 중국이 6득점 4실점 한국(5득점 3실점), 일본(5득점 1실점)이기에 다득점으로 우승 후보를 정한다면 자신들이 트로피를 들어올렸다는 것.
중국은 아직 동아시안컵 여자 축구 우승이 없다. 중국은 9번의 동아시안컵 출전에도 단 한 번도 정상에 오르지 못한 징크스가 올해도 깨지지 않으면서 3위에 그쳤다. 중국은 과거 8차례 대회에서도 우승과는 거리가 멀었다. 2위 2회, 3위 3회, 4위 3회에 그치면서 꾸준히 약한 모습을 보였다.
그런 열등감이 더해진 것일까. 동아시안컵 2회 우승을 차지한 한국에 대해서 태클을 걸면서 일부 중국 네티즌들은 "한국이 일부러 자신들의 우승을 위해 삼자 맞대결 다득점 룰을 만들었다"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물론 말도 안되는 주장. 삼자간 맞대결 다득점 원칙은 꾸준히 자리잡은 방식이다.
어리석은 중국 네티즌들의 주장에 대해 중국의 중계 사이트 중국 '즈보 닷컴'은 "애시당초 삼자 맞대결 다득점은 국제 대회의 공통적인 규칙이다"라면서 "이 대회에서 이 규정을 쓴다는 것 자체는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이상한 소리는 자제해야 한다"라고 일갈을 가했다. /mcadoo@osen.co.kr
[사진] 대한축구협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