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20/202511201058770509_691e76999d14d.jpg)
[OSEN=우충원 기자] 프랑스 현지에서 이강인을 바라보는 시선이 빠르게 달라지고 있다. 시즌 초반부터 핵심 자원들이 연달아 쓰러진 파리 생제르맹(PSG)이 흔들렸지만 현지 매체들은 이강인의 연속된 활약을 이유로 “PSG가 이미 공백을 채울 만한 공격 옵션을 품고 있었다”고 강조하고 있다.
알레스 파리는 20일(이하 한국시간) “하키미, 누노 멘데스, 데지레 두에, 우스만 뎀벨레 등 주축 선수들이 잇따라 전력에서 이탈하며 PSG 스쿼드는 급격히 얇아졌다”며 “그러나 그 빈자리를 이강인이 예상보다 완벽하게 메우고 있다”고 분석했다. 여름 이적시장에서 공격수 보강에 소극적이었던 결정이 당시엔 불안 요소로 지적됐지만, 시즌이 이어지면서 예상 밖의 해결사가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알레스 파리는 이강인의 최근 흐름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오른쪽 측면에서 꾸준히 선발로 나서며 자리를 잡았고 바이에른 뮌헨전에서는 투입 즉시 경기 균형을 바꿔놓았다. 리옹전에서도 결정적인 패턴을 반복하며 공격 전개를 주도했다”며 “다가오는 토트넘과의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도 엔리케 감독이 가장 먼저 떠올릴 카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24세라는 나이는 여전히 성장의 폭을 남겨두고 있으며 이번 시즌 PSG가 발견한 가장 놀라운 자원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20/202511201058770509_691e769ac0721.jpg)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20/202511201058770509_691e769b57e89.jpg)
이 밀도 높은 평가 흐름은 대표팀 무대로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레퀴프는 18일 한국-가나전에서 이강인이 기록한 결승골 도움을 집중적으로 다루며 “클럽에서 상승세를 이어가던 흐름이 대표팀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왼발로 감아 올리는 특유의 궤적은 뮌헨전 네베스의 득점을 이끌었던 장면과 거의 같은 방식이었다”며 “볼리비아전에 이어 두 경기 연속 풀타임에 가까운 시간을 소화하면서도 경기 주도권을 가져왔다”고 덧붙였다.
컬쳐 PSG도 이강인의 패턴을 집중 분석했다. “가나전에서 나온 크로스는 최근 이강인을 상징하는 장면이었다”며 “클럽과 대표팀에서 동시에 자신감을 쌓아가며 경기 폭이 확연히 넓어졌다”고 평가했다.
이강인을 향한 재평가 흐름은 프랑스 축구 전문지 소풋의 주장에서도 이어졌다. 소풋은 “이강인은 단 한 번도 부족했던 적이 없는 선수였다. 다만 정확히 평가받지 못했을 뿐”이라고 강조하며, PSG 입단 이후 그에게 씌워졌던 ‘피지컬 열세’라는 인식이 이미 의미를 잃었다고 분석했다. 이어 “AC 밀란전에서 첫 골을 기록한 이후 그의 잠재력은 더 이상 논쟁의 대상이 아니었다. PSG가 흔들릴 때마다 이강인의 왼발이 경기 흐름을 되돌렸다”고 총평했다.
루이스 엔리케 감독도 이강인에게 확실한 신뢰를 보내고 있다. 엔리케 감독은 최근 인터뷰에서 “이강인은 팀이 필요로 했던 모든 요소를 채워주는 자원이다. 전술적으로도 다양한 역할을 소화할 수 있다”며 향후 더 큰 비중을 맡길 것임을 암시했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20/202511201058770509_691e769c03d48.jpg)
한편 이강인을 둘러싼 이적 가능성은 지난겨울부터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일부 프랑스 매체는 이강인이 지난여름 이적을 타진했으나 PSG가 높은 이적료를 고수하며 이적을 허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제는 상황이 반대로 흘러가고 있다. 최근 경기력을 기준으로 놓고 보면 PSG 내부에서도 “이강인의 출전 시간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 10bird@ose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