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수가 KT 위즈와 3년 총액 50억 원에 서명했다. (KT 위즈 제공)
KT 위즈 유니폼으로 갈아입은 김현수(37)가 세 번의 프리에이전트(FA) 계약으로 돈방석에 앉았다.
KT는 25일 LG 트윈스의 통합 우승을 이끌고 한국시리즈 최우수선수(MVP)를 받은 김현수와 3년 50억 원(계약금 30억 원·연봉 총액 20억 원) 조건으로 FA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2025시즌 종료 후 세 번째 FA 자격을 얻은 김현수는 원소속팀 LG를 비롯해 '친정팀' 두산 베어스, KT 등 세 구단의 관심을 받은 끝에 새로운 도전을 택했다.
박찬호, 강백호, 박해민 등 다른 FA와 계약에 실패, 발등에 불이 떨어진 KT는 김현수 영입에 적극적으로 나서 거액을 안겼다. LG가 제안한 3년 30억 원대보다 훨씬 좋은 3년 50억 원 조건이었다. 특히 인센티브 없이 전액 보장이었다.
이로써 김현수는 세 번의 FA 계약으로만 255억 원을 받게 됐다.
2006년 두산에 육성선수로 입단한 김현수는 2015년 시즌 종료 후 첫 번째 FA 자격을 얻었다. 그는 메이저리그(MLB)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계약, 미국 무대로 건너가 두 시즌을 뛰었다.
FA 신분이었던 김현수는 2017년 말 국내 무대로 복귀하면서 '두산의 라이벌' LG와 4년 115억원(계약금 65억 원·연봉 총액 50억 원) 계약을 맺었다.
4년간 LG에서 뛰어난 기량을 발휘하고 성실함으로 선수단 문화를 바꾼 김현수는 2021년 시즌 종료 후 재평가를 받았다. 그리고 그는 4+2년 최대 115억 원 조건으로 LG에 잔류했다.
LG 트윈스 시절의 김현수. 2025.10.31/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년간 인센티브 없이 90억 원(계약금 50억 원·연봉 총액 40억 원)을 보장받았다.
구단과 선수가 상호 합의한 옵션을 달성하면 2년 총액 25억 원의 계약이 자동으로 연장되지만, 김현수는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다시 FA 시장에 나오게 됐다. 그리고 이번에는 LG 잔류 대신 훨씬 좋은 대우를 보장한 KT 이적을 택했다.
김현수는 세 번의 FA 계약으로 총 255억 원을 받는다. 이는 KBO리그 다년 계약(FA 및 비FA 포함) 총액 기준으로 4위에 해당한다.
'KBO리그 통산 홈런왕' 최정(SSG 랜더스)이 세 번의 FA 계약으로 302억 원을 받아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최정은 2014년 시즌 종료 후 당시 FA 최고 대우인 4년 86억 원에 SK 와이번스(SSG의 전신)와 재계약을 맺었다.
SSG 랜더스 최정은 KBO리그 다년 계약 총액 1위에 올랐다. 2025.5.13/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이어 2018년 시즌을 마치고 SK와 6년 최대 106억 원에 잭폿을 터뜨렸고, 2024년 11월 SSG와 4년 110억 원에 또 한 번 대형 계약을 맺었다.
다년 계약으로 300억 원을 돌파한 선수는 최정이 유일하다.
두산 포수 양의지가 두 차례 FA 계약으로 277억 원을 기록, 다년 계약 2위에 이름을 올렸다. 그 뒤로 김광현이 한 번의 FA 계약과 두 번의 비FA 계약으로 257억 원을 받게 된다.
다년 계약으로 200억 원 이상 받은 선수는 최정, 양의지, 김광현, 김현수 등 4명인데 강민호가 다섯 번째 주인공이 될 가능성이 크다.
앞서 세 번의 FA 계약으로 191억 원을 수령한 강민호는 2025시즌 종료 후 네 번째 FA 자격을 취득, 새 둥지를 찾는 중이다.
rok1954@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