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HN 엄민용 선임기자) 한국 경마의 절대왕을 가리는 제43회 그랑프리(G1, 2300m, 혼OPEN)가 오는 30일 렛츠런파크 서울에서 제8경주로 열린다. 그랑프리는 현존 대상경주 중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며, 국내 유일의 2300m 장거리 G1 경주다. 한 해 동안 쌓아온 모든 기록·명성·자존심이 단 한 번의 질주로 정리되는 무대로, 오직 ‘최강’만이 살아남는 한판승부다.
2015년 혼합 OPEN 경주로 전환된 이후 그랑프리의 우승은 부산경남 경주마가 6회, 서울 경주마가 3회 차지하며 지역 간 자존심 경쟁을 이어왔다. 올해는 부산경남 6마리, 서울 9마리, 일본 원정마 1마리가 출전해 어느 해보다 다채로운 구성으로 경마팬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올해 그랑프리는 ▲디펜딩 챔피언 ‘글로벌히트’의 2연패 달성 ▲서울 경주마의 왕좌 탈환 ▲일본 원정마의 대회 첫 우승 도전 등 관전 포인트가 풍성하다.
한국경마 최강자들에 외국마 출전까지 더해지며 경주 흐름이 한층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어느 한 마리도 우승을 장담하기 어려운 혼전 양상이 전망된다. 이들 중 특히 관심이 집중되는 주요 출전마는 5마리다.
■스피드영(부경, 27전 7/5/7, 레이팅 117, 한국 수 5세, 조교사 방동석)
대통령배 우승으로 ‘2인자’ 꼬리표를 지워낸 ‘스피드영’이 연말 최고 무대인 그랑프리 정상에 도전한다. 그동안 출발과 코너링에서 힘을 과도하게 쓰며 체력 안배가 약점으로 지적됐지만, 직전 대통령배에서는 이를 완전히 극복하며 한 단계 성장한 ‘완성형 경주마’로 평가받았다. 메니피 자마답게 거리를 불문하고 꾸준한 성적을 이어온 데다 올해 대상경주 가운데 단 한 번을 제외하고 모두 순위권에 들어오며 안정감을 증명했다.
■석세스백파(부경, 19전 7/1/5, 레이팅 116, 한국 수 4세, 조교사 민장기)
경주거리가 길어질수록 진가가 드러나는 말이다. 한국 경마 최장거리 2300m 무대에서 한 해를 장식하기 위해 출전하는 만큼 과거 ‘글로벌히트’와 ‘스피드영’을 제치고 KRA컵 클래식에서 압도적인 거리차로 우승한 저력을 다시 한번 재현할지 기대가 모인다. 화려한 스타성은 부족할 수 있지만, 꾸준함과 근성만은 누구보다 강하게 빛나는 타입이다. 특히 장거리에서 강한 면모가 뚜렷해 거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파워와 넓은 주폭은 전문가들로부터 ‘장거리 최적화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글로벌히트(부경, 21전 12/4/1, 레이팅 115, 한국 수 5세, 조교사 방동석)
‘글로벌히트’가 2연패 달성을 위해 그랑프리 출전을 알렸다. 올시즌은 몸 상태 난조로 다소 아쉬운 성적을 거뒀지만, 꾸준히 컨디션을 끌어올리며 정상 복귀를 준비해 왔다. 약 3년간 호흡을 맞춘 김혜선 기수 대신 이번에는 부경 다승 1위 서승운 기수가 기승한다. 비록 첫 호흡이지만, ‘명마+최강 기수’ 조합이라면 다시 왕관을 노려볼 충분한 카드다. 한국 경마 최강이라 불리던 ‘글로벌히트’가 부상을 이겨내고 그랑프리 2연패와 대상경주 두 자릿수 우승이라는 새 기록을 써낼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강풍마(서울, 23전 9/5/3, 레이팅 106, 한국 수 5세, 조교사 김동철)
모두가 어렵다고 했던 ‘강풍마’가 어린 시절의 질병을 딛고 마침내 ‘별들의 전쟁’ 그랑프리 무대에 선다. ‘강풍마’는 단거리부터 장거리까지 폭넓은 거리에서 승리를 거두며 언더독의 한계를 넘어선 잠룡의 면모를 증명해 왔다. 직전 대통령배에서는 아쉽게 3/4마신 차 준우승에 머물렀지만, 결승선 통과 순간까지 여력이 남아 있었을 만큼 잠재력은 위협적이었다. 모마 ‘원더드리머’의 혈통에서 이어진 당당한 체구와 악벽 없는 성격도 큰 강점이다. 서울 대표마로 나서는 ‘강풍마’가 그랑프리에서 부산경남의 강자들을 넘어 렛츠런파크에 새로운 ‘강풍’을 몰아칠 수 있을지 기대가 집중된다.
■유메노호노오(일본, 26전 20/3/1, 레이팅 97, 일본 수 5세, 조교사 다나카)
일본 고치경마장의 히어로 ‘유메노호노오’가 다시 한국 무대를 찾았다. 고치경마장 외 트랙 경험이 거의 없던 ‘유메노호노오’는 지난 4월 YTN배에서 첫 원정에 나섰지만, 긴 수송 시간과 주행 방향 등 익숙하지 않은 변수에 부딪혀 아쉬운 성적을 남겼다. 그럼에도 재도전을 택한 이유는 지난 실패를 만회하고 ‘글로벌히트’와의 대결에 나서기 위해서다. 추입 전개가 주특기인 ‘유메노호노오’는 최근 선행으로도 대승을 거두며 전력의 폭을 넓혔다. 두 번째 한국 원정에서 어떤 전략과 퍼포먼스를 선보일지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이날 렛츠런파크 서울에서는 올해 마지막 대상경주를 기념한 다양한 현장 이벤트도 펼쳐진다. ▲2026년 붉은 말띠해 소원트리 인증 이벤트 ▲우승마를 맞혀라 ▲연말 고객감사 룰렛 이벤트 ▲모바일 스탬프 투어 등 여러 참여형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다. 모바일 스탬프 투어의 경우 참여 횟수에 따라 추첨을 통해 풍성한 경품이 제공될 예정이다.









